해외 수소 공급의 전주기적 과정과 주요 수입국, 수출국을 나타낸 도식도.
해외 수소 공급의 전주기적 과정과 주요 수입국, 수출국을 나타낸 도식도.

[투데이에너지 유정근 기자] 임한권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블루수소를 액상 저장체로 변환해 해상 운송하는 모형으로 수소 수입 모델을 구체화했다.

임한권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고등과학기술원(원장 김진균)과 함께 해외에서 수소를 수입하는 모델의 경제성과 환경타당성을 동시에 평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생산과 저장, 운반 등 전 과정의 비용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개산해내 수소 해외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 지표로도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수소 수입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독일, 일본과 같은 선진 공업국이 수소사회로 조기 진입할 수 있는 대안이다. 당장 수소를 추출할 수 있는 천연가스 같은 화석연료나 신재생에너지, 대규모 인프라 같은 자원은 부족한 반면 에너지 수요는 많아 수소 자급자족은 어려운 현실이다.

임한권 교수팀은 인도네시아산 블루수소를 암모니아 등의 액상 저장체로 변환해 해상 운송하는 모형으로 수소 수입 모델을 구체화했다. 사례 분석 결과 수소 1kg을 공급할 때 생산 단가는 약 3.45~3.72달러로 형성됐다. 수소 생산방식과 운송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이는 2030년 수소 경제 로드맵에서 제시된 1kg당 4,000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9.64~18.4kg 수준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해상 수송선박의 연료를 친환경 연료로 대체하거나 수소 액상변환에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감축 가능하다.

임한권 UNIST 교수는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수소를 수입하는 모델의 경제성과 환경타당성을 전주기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연구”라며 “향후 다양한 해외 수소 공급 모델 평가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 1저자인 김아연 연구원은 “비슷한 처지인 일본이나 유럽 일부 국가들은 이미 호주 같은 해외에서 수소를 수입하는 모델을 실증 연구 중”이라며 “우리나라도 해외 공급망을 구체화하는 연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공동 제 1저자인 이현준 연구원은 “시뮬레이션 결과 수소를 수입할 경우 정부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제안된 2030년 목표인 1kg당 4,000원은 달성 가능하지만 2040년 목표인 1kg당 3,000원 달성을 위해서는 수소 생산이나 운반, 저장부문에서 비용 감소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