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요소수 사태가 국내 물류대란은 물론 에너지 수급 문제에까지 불통이 튀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경제성을 이유로 국내에서 생산을 하지 않고 해외 수입에만 물량 수급을 의존하면서 빚어진 정부의 안일한 대응 때문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국내 경제 및 에너지 안보에도 파급을 미칠 수 있는 원자재 등에 대해 정부가 전략물자로 지정, 관리하고 있지만 수급에 그동안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가 초래한 촌극인 셈이다.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2030년 40%로 대폭 상향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2040년부터는 내연기관차 생산을 중단하겠다는 선언하고 있는 상황이다. 

생산을 중단한다고 해서 운행이 멈추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탄소 사회가 일사분란하게 일시에 이뤄지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순항을 위한 징검다리 내지 과도기를 설정하고 이 시기에 LPG나 LNG화물차에 대한 지원이 절실히 필요해 보인다. 

그린뉴딜 정책을 내놓은지 불과 1~2년도 채 되지 않아 장관이 교체되면서 정부는 LPG화물차 지원예산을 축소시켜 버렸다. 

요소수 하나 때문에 혈관과도 같은 물류가 막힐 수 있는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LPG나 LNG화물차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경유차와 달리 LPG나 LNG화물차에는 요소수가 필요없다. 

또 경유차에 비해서는 미세먼지나 온실가스 배출에도 비교우위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영업자를 비롯한 서민경제를 위해서도 LPG나 LNG화물차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이 소상공인연합회나 용달화물차연합회 등 관련 단체에서 LPG화물차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고 지원금도 높여줄 것을 요청했지만 아직 묵묵부답이다. 

저탄소 사회는 분명 국제사회와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가야할 길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전기 및 수소차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가 일시에 또는 빠른 시간내 진행되면 몰라도 그렇지 못하다면 정부는 LPG와 LNG화물차로 시선을 돌리는 것이 마땅하다. 

제대로 소화도 못하는데 보급 대수와 지원금액을 설정하고 생산 계획을 넘어서는 전기·수소차 생산과 판매를 고집하는 것보다는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하고 서민경제에도 도움될 수 있도록 LPG·LNG화물차 지원 확대로 방향을 선회하는 것이 정부와 정치권이 국민들로부터 지지와 성원을 받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