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희 (재)기후변화변센터 사무총장이 발제를 하고 있다.
김소희 (재)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이 발제를 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시민들의 기후위기 인식·환경감수성은 이미 상당한 수준이기 때문에 다양한 시민 인식제고 활동 통해 정책추진의 탄력성 증대가 필요하다”

김소희 (재)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은 대한전기협회와 한국환경연구원, 기후변화센터,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이 13일 ‘국가 탄소중립 추진전략 활성화 방안과 과제’로 전경련회관에서 개최한 제8차 전력정책포럼에서 ‘탄소중립 인식조사 시사점’ 발제를 통해 “기존과 이번 조사 모두 국민의 탄소중립 인지도는 높은 편이나 조사 결과에 의하면 85.9% 중 24.3%만 ‘잘 알고 있음’수준”이라며 “전반적으로 기후 위기를 심각하게 여기고 있으나 이에 반해 탄소중립 실현가능성은 약 50%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시민 참여형 숙의를 통한 비용에 대한 사회적 이해 증진을 위해 협상게임과 같은 토론 중시의 사회적 숙의 과정으로 연령별 탄소중립 이슈 발굴 및 상호 토론·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사무총장은 “정부-기업-시민사회 삼각형 구조가 잘 작동하기 위해 다수의 사람들과 지식 및 정보를 더해가며 개인이 발휘할 수 있는 집단 지성 활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사무총장은 “기후 위기 내재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라며 “각각의 위치에서 대비·대응해야 할 정보가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김 사무총장은 “각 연령별 라이프사이클(학교·기업 등)에 맞는 필수 정보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라며 “전국에 탄소중립 평생 교육원 설치로 새로운 문명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사무총장은 “이번 탄소중립 대국민·전문가 인식조사는 타 기관과의 차별화를 위해 일반 국민과 전문가 간 탄소중립에 대한 이해도에 차이가 있다는 가정하에 두 개 그룹 간 인식조사 구성 및 질문에 차이를 둬 조사를 진행했다”라며 “한국환경연구원, (재)기후변화센터, 대한전기협회, 미래에너지정책연구소 공동주관으로 기후·에너지 및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일반 국민과 전문가 집단을 나눠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 사무총장은 “탄소중립 이슈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 확인·비교를 위해 2030, 4050, 60세 이상으로 세대를 구분했다”라며 “조사 결과 기후위기가 심각하다 84.7%, 기후위기 대응 중요성에 공감한다 86.3%로 나타나 세대별 기후위기 심각성 인지도와 기후위기 대응 필요성 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반 국민 중 60세 이상 그룹은 탄소중립 정보를 가장 많이 취득했음에도 전체 세대 중 탄소중립 이행 비용 부담 의지가 가장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김 사무총장은 “2050년 상용화 될 기술에 대한 응답결과 수소생산·발전(수소터빈·연료전지 등)이 CCUS에 비해 2040, 2050년에 더 많은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라며 “소형모듈원전(SMR)도 응답 전문가의 약 34%가 시장성과 상용화 측면에서 연도 간 크게 발전할 것으로 예측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