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에너지분야 R&D에 총 1조1,897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라고 한다.

16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9개 에너지공기업이 7,298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정부도 R&D예산으로 4,599억원을 기획예산처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수치는 올해 총 공공부문 R&D예산 1조1,282억원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이긴 하지만 우리의 사정을 감안할 경우 여전히 대단히 부족하다.

국제유가가 하늘 높은 줄도 모르고 치솟고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에너지분야 기술개발의 중요성은 그 어느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상황에서 에너지·자원이 전문하다시피 한 우리의 경우 R&D를 통한 차세대 기술의 개발이야말로 국제적인 에너지·자원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미국, 일본, EU 등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자원개발과 더불어 에너지분야 R&D에 막대한 금액을 투자하며 미래를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IEA에 따르면 2005년 미국은 에너지R&D에 86억1,400만달러, 일본은 7,411만달러를 투자해 각각 우리의 29.6배, 25.5배를 투자했다. 반면 우리의 경우 정부예산 4,599억원도 기획예산처의 심의에 따라 줄어들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에너지분야 R&D에 대한 개념이 선진국과 우리가 다른 것이다.

에너지전문가들은 빠르면 20년내에 화석연료시대를 넘어 수소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화석연료시대에 에너지종속국인 우리가 R&D에 대한 투자가 미흡할 경우 새로운 수소시대에서도 에너지종속국으로 머무를 수 밖에 없다. 이것이 에너지R&D를 획기적으로 늘려야만 하는 이유다.

또 하나 R&D를 위한 투자금액 확대도 중요하지만 1조원이 넘는 금액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다.

자금이 정확히 필요한 곳에 적정히 배분될때 투자효과는 극대화되고 새로운 기술개발이라는 결과물로 재탄생될 것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