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해 에너지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열병합발전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에너지업계 모두가 공감하지만 공동주택 위주의 보급정책에 대해서는 다소 이견이 있는 듯 하다.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공동주택에 대한 소형열병합발전 도입은 분산형 전원 확대라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하절기에 전기 위주의 생산이 돼 열병합발전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것이다.

공동주택에 대한 소형가스열병합발전 확대는 가정용 전력에 대한 누진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높은 누진제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소형가스열병합발전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니 전기요금 체제의 허점을 파고들었다고도 볼 수 있다. 여기에 ESCO(에너지절약전문기업)을 통한 정부자금 지원이 더해지면서 경제성도 대폭 확대됐다.

이에 반해 산업용 소형열병합발전의 보급은 상대적으로 매우 더디다. 원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겠지만 역시 높은 천연가스 요금 수준과 산업용 전력요금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것이다.

알려진바에 따르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대한 투자비 회수 기간이 4~5년 안팎인 반면 산업체에 대한 소형열병합발전은 10년을 넘기가 일수라고 한다. 높아져만 가는 에너지가격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보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러나 산업용열병합발전은 하절기 공동주택에서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배열을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에너지이용효율이 공동주택에 비해 매우 높고, 동고하저형인 천연가스의 수요를 분산시키는데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이 때문에 일본을 위시한 선진국에서는 산업용 열병합발전에 대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아끼고 않은 것이다.

세계는 바야흐로 총성없는 에너지확보 전쟁중이다.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검증된 산업용 소형열병합발전의 보급확대를 위해서 산업자원부, 한전, 가스공사, 에너지관리공단 등 유관 기관들이 힘을 모으는 것 또한 에너지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는 길일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