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전력 공급 방식을 놓고 벌이고 있는 공방이 치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이 발표된 지난달 27일 정부와 시민단체인 에너지시민연대 그리고 LPG업계는 전력공급 방식의 경제성을 놓고 서로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우선 정부 안은 제주도 전력공급 방식을 2011년까지 해저송전선로 증설하고 이후 LNG발전소를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즉 해저케이블과 LNG발전을 병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내놓은 병행 공급 방식은 2013년이 되면 100% 가까운 전력 예비율이 나타난다며 정부 방식대로 추진된다면 중복투자에 따른 국민 혈세 낭비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제주도 전력공급은 해저케이블과 LNG발전소건설 중 한가지로도 충분하다는 것이 시민단체와 LPG업계의 주장이다.

그러나 해결 방안에 들어가면 또 다시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뉘어 진다. 시민단체인 에너지시민연대는 해저케이블 방식은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LNG발전소 등 자체전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LPG업계에서는 LNG발전소 건설은 중복투자이며 자체적으로도 경제성이 없어 결국 육지 LNG소비자에게 부담이 돌아가는 방식(교차보조)이므로 해저케이블을 통한 전력 공급이 더 경제적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병행 추진과 해저케이블 증설, LNG발전소 건설 중 어느 방식이 경제성이 높으냐를 놓고 정부와 시민단체 그리고 LPG업계가 서로 다른 주장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는 결론부터 말하자면 어느 방식이 안정적이고 경제적인가 하는 정확한 검토와 연구가 미흡함에 따른 논쟁인 것이다. 정부는 전기연구원과 에경연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안정성과 경제성을 감안할 때 병행방식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주장인 반면 LPG업계와 시민단체는 연구용역 결과는 짧은 연구기간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사실상 불가능했다며 연구결과에 신뢰성을 두지 않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 정전사태가 발생한 것은 지난 4월이었고 정부와 여당이 당정협의를 통해 병행 추진을 결정한 것은 8월이었던 만큼 불과 3개월 만에 신뢰할 만한 연구 결과를 낼 수 있었겠는가 하는 점에서는 시민단체와 LPG업계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정부는 제주도 전력공급 방식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며 투명한 연구를 통해 이해 당사자들도 납득할 만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지금과 같이 논란만 계속된다면 결국 피해는 제주도민 만이 아니라 에너지 산업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