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휘발유와 전기, 수소자동차가 늘어난 반면 경유와 LPG, CNG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을 위헤 정부가 수소·전기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을 꾸준히 펼쳐온 영향이지만 내연기관차 중에서 경유와 LPG, CNG자동차가 맥을 못추고 있는 결과를 낳고 있다. 

질소산화물 등 유해 배출가스 배출 측면에서 경유차 감소 현상이 전세계적인 추세라면 LPG와 CNG차량과 같은 대체연료 차량마저 브릿지 연료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은 유럽과 미국 등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에만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보인다. 

유럽과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도 수소 및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지만 차량 운행제한에서 LPG를 비롯한 대체연료 차량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면서 대체연료 차량이 증가쎄를 보이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LPG관련 업계에서는 LPG차 등에 대한 지원을 정부에 요청하지만 겨울철 충전불량, 화재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전기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어 탄소중립 내지 기후변화 정책이 연착륙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없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수소 및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도 함께 병행돼야 하지만 안전거리 또는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 기존 주유소나 LPG충전소를 확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 시설들에 대한 폐업지원이나 수소전기차 충전시설로 전환할 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에서 집계한 연료별 자동차 등록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등록된 자동차는 2,550만3,078대로 전년 2,491만1,101대에 대비할 때 59만1,977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대비 2.38%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으로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등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금리인상,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자동차 구매율이 떨어지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연료별로는 휘발유가 1,318만7,649대가 등록돼 전년 1,263만271대에 비해 55만7,378대가 늘어나 전체 등락 차량 가운데 51.71%로 0.01%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반면 경유는 979만5,611대가 등록돼 전년 989만3,868대에 비해 9만8,257대가 감소하면서 39.72%였던 점유율이 38.41%로 떨어졌다. 

전기 및 수소차 증가세 영향으로 LPG차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2022년 12월말 등록된 LPG차는 191만9,024대로 전년 196만971대에 비해 4만1,947대가 줄었다. 

이는 7.87%였던 전체 등록 자동차 점유율이 7.52%로 0.35%포인트 떨어졌다. 

버스를 중심으로 사업용 차량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CNG차량도 3만3,289대가 등록돼 전년 3만5,528대에 비해 2,230대가 감소하면서 전체 등록차량 가운데 0.13%의 점유율을 보였다. 

반면 전기와 수소차는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며 강세를 나타냈다. 

지난해말 38만9,855대가 등록된 전기차는 전년 23만1,443대에 비해 15만8,412대가 증가해 1.54%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수소차는 2만9,623대가 등록돼 전년 1만9,404대에 비해 1만219대가 늘어나 0.08%였던 점유율이 0.04%포인트 증가한 0.12%를 나타냈다. 

정부가 지자체와 함께 공공기관 또는 노선버스 등을 대상으로 전기나 수소버스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어서 CNG차량 감소 현상이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전기 및 수소차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책이 지속되면서 경유와 LPG차량도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어린이 통학차, 1톤 LPG화물차 등에 대한 지원책과 함께 연료비 연동제 시행에 따른 전기 및 수소충전요금 인상이 수소·전기차 보급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없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가격이 상승하는 LNG 개질을 통한 수소 공급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전기료마저 인상될 경우 전기 및 수소차 등 친환경차 보급이 정부 기대만큼 순탄하지만 않으며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나 대기온도가 낮은 겨울철 전기충전의 어려움 내지 방전 등의 부작용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로 부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