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석유회사, 자본 지출 증액 움직임



유가 회복세가 가시화 되면서 미국의 중소형 석유회사들이 자본지출을 증액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유가가 지난 10년중 최저수준으로 떨어지면서 미국 독립계 회사들은 올해 자본지출 규모를 전년의 40%로 축소했다. 그러나 올해 2분기부터 유가가 회복되는 기미를 보이면서 재무실적이 양호한 일부 석유회사들은 탐사 및 시추부문 예산 증액과 자산 매입을 신중히 검토하는 것으로 전하고 있다.

특히 가스부문에 종사하는 회사들의 영업실적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日本石油가스, 三菱液化가스와 제휴

LP가스 대기업인 日本石油가스와 三菱液化가스는 물류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제휴하고 있다. 8월부터 사우디아라비아 등 LP가스 산출국으로부터 일본으로의 수입船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한편 국내의 수입기지 및 출하 설비도 공동으로 사용해 물류비를 각각 10% 정도씩 삭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장래에는 수요가의 가스 잔량 등의 집중 감시 시스템도 일원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LP가스 업계는 도시가스 및 전력과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99년부터 2003년까지의 수요 신장률이 0.2%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동경전력, 가스사업 진출

동경전력은 최근 大多喜가스와 가스도매 판매계약을 체결, 가스공급 사업에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2000년 1월에 공급을 개시하며, 3년이내에 연간 3,500㎥(액화천연가스 환산에서 약3만톤) 이상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의 전력 각사는 98년 이후 정관에 가스공급사업을 추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업을 개시하는 것은 동경전력이 처음이다. 동경전력은 2000년 3월부터 전력소매 부문의 일부 자유화에 대응해 통신사업 등 사업다각화를 서두르고 있으며, 가스사업 진출도 그 일환이다.


Sheel, 호주 국내용 가스프로젝트 개발

Sheel이 주도하고 있는 Northern Australian Gas Venture는 티모르해에 20억9천달러 규모의 단독 호주 국내 가스 프로젝트를 계획중이다. 여기에서 생산된 가스는 Darwin과 연결, Mataranka를 경유하는 2,265㎞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Queensland에 공급될 예정이며 미국의 Duke Energy와 인프라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착수, 올해말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美 엔론社, 태국 에너지 시장 진출

미국 엔론社는 최근 태국의 발전, 천연가스, 에너지 인프라 개발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엔론은 태국내에서 사업기회를 모색키 위해 현지인으로 구성된 스텝과 함께 지사를 설립중이며 오는 8월초에 공식 오픈할 예정이라고 알려졌다.

엔론의 방콕사무실은 2년전쯤에 계획됐지만 지난 97년부터 시작된 태국의 경제위기로 지금까지 연기돼 왔었다.

그러나 엔론은 최근 태국의 경제가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고 발전, 천연가스 공급 산업에 대한 태국정부의 개혁이 힘을 얻고 있어 다시 지사설립을 결정했다.


미국 FWC社 저비용 메탄올 개발 박차

미국의 엔지니어링 건설사 Foster Wheeler Corp(FWC)사는 발전시장 연료인 천연가스로부터 저비용으로 메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 기술개발을 위해 이달초 휴스턴의 Starchem Technologies Inc와 독점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이 개발되면 LNG보다 더욱 경제적으로 메탄올을 수송할 수 있으며 발전사들은 부지변경을 위한 상당한 자본지출없이 이 메탄올을 이용 할수 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폐기물 소각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을 다른 폐기물을 이용해 제거 할 수 있는 획기적인 소각로가 우리나라와 일본의 공동연구로 개발됐다.

국제종합경영연구원(원장 윤태열)은 지난 21일 종이나 플라스틱 등의 일반폐기물을 재활용, 소각되는 폐기물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을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이옥신 관리시스템을 경남대 민병윤교수팀과 일본 에히메 대학, 그리고 미우라 환경과학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 소각로는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을 특수하게 만든 다이옥신제거 필터에 흡착 이를 3개월에 한번씩 교환 혹은 재활용함으로써 다이옥신 배출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고 연구원측은 발표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