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산업자원부 장관에 학자 출신이며 개혁 성향이 높다는 김영호 전 경북대 교수가 임명되었다.

산업자원부는 국가산업발전과 에너지·자원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부처로 국내외 환경 변화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관련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지원·육성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따라서 관련 산업계가 신임 장관에 거는 기대 역시 클 수 밖에 없다. 특히 에너지 관련 산업은 그 특성상 상당히 긴 안목으로 사안을 분석하고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신임 장관이 부임할 때 마다 관련 산업계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에너지 관련 산업은 한 국가의 산업 발전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으며 국민 생활연료의 공급이라는 인프라적 성격을 지닌 산업이다.

이같은 에너지 산업의 특성상 정책의 개발이나 집행은 단기적이고 즉흥적이어서는 곤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우리 에너지 관련 정책은 결코 체계적이고 종합적이며 긴 안목을 갖고 입안되고 집행되지 못한 면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해외 에너지 자원개발분야의 시행착오를 들을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나라는 어쩔수 없이 해외 에너지 자원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에너지의 수입에는 많은 변수가 작용하고 있다.

국제 정세나 에너지 생산국의 사정에 따라 에너지 수입 금액의 변동폭이 크다보니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에너지자원 개발 도입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의 해외 에너지자원 개발 실적은 극히 미미한 실정에 있다.

그 결과 국제 유가 변동에 따라 국내 산업의 경쟁력이 부침을 거듭하는 불안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시각에서 해외 에너지 자원개발 관련 정책의 전반적 검토와 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 에너지 소비 시장의 구조개편도 필요한 분야이다.

전세계적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결과로 오염물질 배출 규제를 강화해 나가는 상황에서 우리도 역시 에너지 소비시장의 전면적 구조개편을 늦추고 있을 수는 없다.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사용하는 산업기반으로의 전환과 아울러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구조로의 개편이 되지 않는다면 머지 않아 우리의 산업 기반 자체가 와해될 수 밖에 없는 심각한 상황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같은 맥락에서 볼 때 가스산업은 중·단기적으로 환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중요한 산업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가스산업은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집행해 나가기에는 너무나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집단에너지 사업과 가스사업간의 충돌 현상이 그러하고 전원개발 사업의 연료 선택 문제 또한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숙제이다. 아울러 가스산업이 천형처럼 안고 있는 안전확보 역시 아직까지 완벽한 상태이지 못하다.

이처럼 많은 문제들의 해결이 신임 장관의 어깨에 달려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새로 취임한 장관에게 에너지 산업과 관련된 부문에 깊은 애정과 관심을 갖고 바라보아 주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