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산업의 선택과 과제 무엇인가?’란 주제의 4회 기획연재가 이번 호를 끝으로 마무리된다. 아직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과 현안사안들이 LPG업계에 산재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음 기회에 기획연재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 뵐 때에는 보다 철저한 준비와 조사로 LPG업계의 현황과 문제점 뿐만 아니라 발전방안과 대응책 등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 <편집자 주>

프로판산업을 성장,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LPG소형저장탱크 보급 활성화가 주목 받고 있다.

오는 4월말 LPG배송센터 시범사업을 끝으로 전국으로 확대 시행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LPG수입사 뿐만 아니라 충전·판매 등 전 LPG업계가 서둘러 나름대로 준비를 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 소형저장탱크 설치를 통해 LPG를 공급하지 않을 경우 다른 업체들에 비해 LPG가격 경쟁력에서 뒤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LPG업계에서 발주한 ‘LPG소형저장탱크보급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안전관리 선임기준 완화 △제2종 가스시설시공업 업무범위 확대 △소형저장탱크 재검사 기간 조정 △벌크로리 보유요건 완화 등이 선결돼야 할 현안으로 제시됐다.

벌크 설치·물량유치 경쟁 ‘치열’
LPG업계간 협조와 발전방안 찾아야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은 0.5톤에서 1톤으로, 제2종 가스시설시공업 업무범위의 경우 500kg 미만에서 1톤미만으로, 소형저장탱크 재검사기간은 5년에서 10년(5년 외관검사, 10년 개방검사)으로, 벌크로리 보유요건은 충전·판매업계 모두 소유에서 보유로 각각 완화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발맞춰 용역 수탁기관인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연구용역 발주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 LPG업계와 함께 산업자원부와 건설교통부에 개선사안에 대한 의견 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산자부도 안전과 산업부문에서 무리가 없는 한 제안된 의견을 가급적 받아들이고 배송센터 시범사업의 전국 확대 시행을 위해 제도 개선에 대해일정부분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어느 수준으로 개선안이 제시되고 시행될 수 있을지 확정되지 않았지만 LPG업계는 소형저장탱크 보급 확대를 위해 각 사업장별로 대비하고 있는 상태다.

LPG수입사는 수도권, 충청권, 강원권 등 전국 각 지사를 통해 충전소를 유치하고 직영 또는 임대 충전소에 벌크로리 이충전 허가를 받아 물류기지로 활용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충전소는 군인 복지아파트를 비롯한 집단공급시설, 가스사용량이 많은 LPG시설 등에 소형저장탱크 설치에 나서고 거래처를 많이 확보하고 있는 LPG판매소의 유치에 신경을 쓰고 있다.

서울, 부산, 대전 등 도심지역보다는 경기도를 비롯한 LPG판매소를 중심으로 소형저장탱크 설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경쟁으로 인해 여타의 지역과 가스업체들에 비해 저렴한 LPG가 공급되기도 한다.

또 지방에 비해 소형저장탱크를 통한 LPG공급물량이 적은 도심 소재 LPG판매소는 소형저장탱크가 프로판부문의 대세로 대두될 시기에 대비코자 지방의 LPG판매소를 인수하거나 벌크로리 이충전 판매허가를 받으려는 준비에 나서고 있다.

LPG배송센터 시범사업이 전국 확대 시행되는 제도로까지 진척되지 않았지만 LPG업계는 전국 각지에서 소형저장탱크 설치와 판매물량 확보에 신경전을 벌이는 중이다.

소형저장탱크 보급 측면에서는 속도가 붙기 시작했지만 이 시장을 두고 LPG업계는 각기 다른 시각과 이해관계를 보이고 있다.

사업장별, 각 LPG업계별로 소형저장탱크의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탐색전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소형저장탱크를 통한 LPG판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일정규모 이상의 물량을 확보하고 인건비, 운송비 등의 각종 비용을 낮춰 소비자에게 종전보다 싼 가격으로 LPG를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또 소형저장탱크의 안전성 확보를 통해 사고발생도 낮출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은 물론 투자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의 이익도 확보 가능한 경제성도 담보돼야 한다.

소형저장탱크 보급에 따른 가스안전, 프로판 수요감소 억제, 그리고 경제성 등 어느 하나도 보장된 것은 없다.

결국 각 사업장과 전 LPG업계가 한발씩 양보해 절충점을 찾고 LPG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때만이 제도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