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월 해외플랜트 수주액이 전년동기보다 65% 증가한 108억달러에 달한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이와 함께 LNG, GTL 등 주요 고부가가치 분야의 플랜트 진입을 위해 정부가 R&D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해외벤더 등록 등 주요 기자재업체의 해외진출 지원도 강화한다고 한다.

최근에는 해외자원개발사업과 연계한 해외플랜트 공사 수주 소식도 간간히 들려온다. 한국형 해외자원개발사업 모델이자 해외건설 진출 모델이 정착되고 있는 것 같아 반갑다.

수주 내역도 알차다. 해양플랜트, 석유화학 및 발전·담수 설비, 발전설비, 폐열회수보일러 등 다양한 분야로 수주품목이 넓어졌고 유럽·미주 지역으로 수주지역의 다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수주 금액면에서도 5억달러 이상 수주가 8건 61억달러로 전체 56%를 차지해 플랜트 수주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고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해외플랜트 수주 호조세와 더불어 해외 에너지·자원개발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전략이 매우 유효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해외자원개발사업과 해외플랜트 수주를 연계한 새로운 사업모델은 매우 바람직하고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안타까운 것은 이러한 사업모델이 정부 주도로 끌려가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외교전과 지원은 새로운 사업모델 정착에 반드시 필요한 대목이지만 정부 주도의 사업모델에서 민간 주도의 사업모델로 탈바꿈해 나가야 한다.

자원개발기업과 플랜트사업자들이 자발적으로 협력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해외시장을 공략해 나간다면 해양플랜트, LNG·GTL 설비, 발전 및 담수설비 등 고부가가치 플랜트 수주와 해외자원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