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보일러업계는 ‘열효율’ 이야기만 나오면 고개를 흔든다. 지난 몇 년동안 열효율문제로 관련업계간의 불협화음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이는 정부의 정책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보다 효율이 좋은 기기 보급을 확대시키는 것이 정부의 목표이다. 이에 가정용 가스보일러도 효율관리기자재와 고효율기자재로 선정돼 보다 효율 높은 보일러를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일조했다. 초기 정책은 맞아 떨어졌다. 최저효율제를 도입해 80% 이하 보일러를 제조 및 판매를 할 수 없도록 해 효율 향상에 앞장섰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는 효율을 요구하는 정부의 정책이 보일러업계의 반목과 불신을 키웠다. 정부에서 시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돼 안전성이 검증되지 못한 일반보일러가 시중에 판매될 처지에 처한 것이다.

현재 국내외를 통틀어 콘덴싱보일러를 제외하고 일반형보일러의 열효율 한계는 84%가 정설이다. 84%를 넘는 경우 응축수의 발생으로 보일러의 열교환기 등 부품의 부식으로 이어져 내구수명이 급격이 짧아질 수 있다.

일부 보일러업체의 경우 새로운 연소기술을 접목시켜 84%의 가스보일러를 개발 판매 중이라고는 하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성 및 내구성은 검증되지 못했다. 가스보일러의 사고는 인적 및 물적 피해로 이어진다. 과거 국내 난방방식에 따른 검증되지 못한 보일러로 관련업계가 고생한 적이 있다.

이렇다보니 보니 가스보일러 제조사 기술진들이 더 이상 84% 가스보일러는 안정성을 담보하지 않는다며 양심고백을 하고 있다. 현 제도대로 갈 경우 품질저하, 내구수명 단축, 안전사고 등의 악순환으로 인해 가뜩이나 사양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시점에서 결국 보일러업계는 고사하게 될 것이다.

당장 보일러 몇 대를 더 판매하기 위한 것이 아닌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서 보일러업계의 통렬한 비판과 자기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