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경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실 실장
현대도시는 산업혁명 이전에는 나무가 주에너지원이었고 산업혁명 이후 에너지밀도가 높은 화석연료시대로 접어들면서 석탄을 기반으로 성장이 급속히 팽창하게 됐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수송부문의 석유와 2차에너지로서 전력이 도시생활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도시는 거대화와 집중화, 복잡화, 네트워크화하게 되고 전력과 수송, 통신의 인프라를 움직이기 위한 에너지공급 및 이용설비 투자가 이뤄져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도시는 화석에너지도시라 칭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현재 세계 인구의 과반수가 도시에서 살고 있고 전 세계 에너지의 3/4이 도시에서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지역에너지정책은 도시생활의 핵심요건이다. 1992년의 리오지구정상회의(Rio Earth Summit)에서 제안되고 승인된 지방의제 21(Local Agenda 21) 운동은 지자체로 하여금 지방 이해당사자들과 협력해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와 도시건설에 지대한 관심을 갖도록 했다. 일반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용확대는 도시환경의 개선과 지방의제 21을 개발한다는 차원에서 도시의 목표에 잘 부합한다. 에너지효율 향상이나 신재생에너지개발과 같은 에너지공급원의 다양화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저감은 물론 도시생활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건설과 제조부문에서 고용창출 효과를 발생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

오늘날 많은 지자체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거나 참여하고 있고 이러한 사업을 지방정부의 홍보용으로 활용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지자체는 이러한 정책을 지자체의 대외이미지를 쇄신하고 정책방향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일부 소도시에서는 주거환경의 악화로 인해 이주민들이 늘고 젊고 유능한 경제활동인구 비율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주거환경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관련산업의 육성이 지자체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분산에너지원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지자체의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에 대한 다양한 도전과 기회를 제공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석유생산량의 정점이론에 근거한 에너지안보와 화석연료사용에 따른 기후변화의 가속화라는 2대 명제에 따라 세계 대도시들은 생존을 위한 전략으로서 에너지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문명을 지배했던 중앙집중식, 공급위주의 탄소경제시대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에 기반한 분산형 수요관리 위주의 환경친화적 청정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도시문명의 지속화와 재도약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문명의 지속적 유지를 보장하는 유일한 대안은 자연에 풍부히 부존되어 있는 태양에너지와 풍력, 지열, 수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에 기반해 공급원과 소비형태의 포트폴리오 믹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세계 많은 도시들은 신재생에너지에 기반한 친환경 에너지도시,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을 지향하는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1970년대 지속가능개발이라는 개념이 태동하고 이러한 운동이 지방정부의 주도로 시작돼 글로벌 차원으로 확산되고 있다. 유럽의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한 국제지방환경운동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1990)와 더불어 최근 우리나라 대구에서 출범해 영국의 옥스퍼드에서 2차 회의가, 그리고 내년에 호주의 아델라이데시에서 3차 회의가 개최되는 국제솔라시티운동 (International Solar City Initiative)이 바람직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수급 시스템의 전형을 제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