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원자력 연구개발 Action Plan 대토론회’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속에 열렸다.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전제로 한 미래원자력연구개발 방향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그러나 한미원자력협정, 전력수급계획 미정 등의 이유로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국원자력학회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는 지난 27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미래원자력 연구개발 Action Plan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미래원자력연구개발 AP추진 배경에 대해 이건재 KAIST 교수가 발표했다. 이어 박기철 한국수력원자력 전무는 국내 사용후핵연료 관리 현황 및 전망에 대해 발표하며 우리나라는 2016년이면 고리와 영광 원자력발전소에서 소내 저장이 포화상태에 이른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를 감안한 정부 정책이 적기에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기철 전무는 “현 시점에서는 사용후연료 재처리, 재활용, 처분 등의 관리방안 결정을 하기에는 여건이 미성숙하다”라며 “우선 중간저장시설을 추진하고 파이로 프로세스 건식처리 및 재활용 기술 조기 실용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등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순흥 한국과학기술원 부총장은 ‘미래 원자력 연구개발 Action Plan’수립 배경에 대해 “신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한 국가 원자력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라며 “미래 원전 개발 목표, 추진방향 및 개발속도를 명확히 설정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 발표 후에는 패널토론이 이어졌으며 각 전문가들이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이석봉 대덕넷 사장은 “한미협정이나 개발에 있어 나아갈 길이 먼데 가장 기본적인 국민들의 공감을 얻기 위한 노력은 부족한 것 같다”라며 국민 공감대 형성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남호 지경부 방사성폐기물과 과장은 “오늘 토론회에서 마치 정부정책이 사용후핵연료에 대해 재활용으로 정책방향이 정해진 것처럼 논의 되고 있어 당황스럽다”라며 “에너지 믹스 등 전력수급계획에 대한 변경 여지가 너무 많아 사용후연료 처리에 대해 시간을 두고 검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종합토론에서 한 참석자는 “연구개발이 어느 쪽으로 되든 국민의 관심은 원자력에 대한 신뢰와 안정성에 있다”라며 “기술이든 정책이든 결정이 되도 국민이 싫으면 못하는 것이므로 원자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