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폐기물과 임목, 농업부산물, 해조류 등과 같은 폐자원과 바이오매스를 최대한 활용키로 했다. 이를 위해 2012년까지 전국 10개 권역별로 ‘환경·에너지 종합타운’을 만들고 2020년까지 ‘저탄소 녹색마을’ 600곳을 조성키로 했다.

19일 환경부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대책’에 따르면 에너지 사용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그동안 단순 매립이나 소각처리 또는 방치되던 폐자원과 바이오매스를 고체연료(펠렛, 목탄), 바이오가스(메탄), 바이오연료(에탄올, 메탄올) 등으로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다.

폐자원 등의 에너지화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을 이용하는 것보다 비용이 훨씬 저렴하고(태양광의 10% 수준) 폐기물 처리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효과도 있어 유럽과 일본에서는 이미 신성장 동력의 산업으로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는 것이 환경부의 설명이다.

이번 대책은 △폐자원 △목질계·초본계 바이오매스 △해양바이오 에너지화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시범단지 조성 △10개 권역별 종합타운 확산 건설 △600개의 저탄소 녹색마을 600곳 조성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등 7개 중점분야로 나뉘어 농림수산식품부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산림청, 행정안정부 등 부처별 실행계획에 따라 추진된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폐자원과 간벌목, 농업부산물 등 기존 부산물을 최대한 이용하고 중장기적으로 수변구역과 국유림에 바이오순환림, 유휴농경지에 유채단지를 각각 조성해 신재생에너지 확보 국가 목표율(2050년까지 20%)의 절반을 폐자원과 바이오매스로 충당할 계획이다.

또 에너지화 실현방안으로 수도권매립지에 올해부터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기반으로 2012년까지 대도시 중심의 전국 10개 권역별로 확대, 발전시키는 한편 2020년까지 전국에 600개의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2012년까지 6조1,000억원, 2020년까지는 29조1,000억원 정도가 소요되는데, 정부는 국비와 지방비, 공기업 및 민간투자 유치 등을 통해 융통성 있게 조달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이들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2012년까지 연간 3조2,800억원(2020년에는 8조4,300원)의 경제적 효과와 5만2,000개(2020년은 14만4,000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원유대체 효과로 따지면 2012년까지 당진화력발전소 9.5기(원유 2,407만배럴), 20년까지 14.8기(5,525만배럴)를 건설하는 것과 맞먹는데다 2012년까지 이산화탄소 1,533만t(2020년까지 3,201만t)을 감축하는 효과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