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27대 중점 녹색기술 개발・산업화 전략 로드맵’이 제시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산업화 전략이 제시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 22일 박찬모 대통령 과학기술특별보좌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녹색성장 과학기술계 협의체’를 발족하고 창립회의를 개최, ‘27대 중점 녹색기술 개발・산업화 전략 로드맵’ 중간 발표를 진행했다.

중점 대상 기술별 개발 방향은 5개로 분류돼 △원천 기반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할 기술로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수소제조・저장 기술 등 △실증・보급을 통한 상용화에 집중해야 할 기술로 지능형전력망(전력IT), 연료전지, 석탄가스화복합발전기술(IGCC) 등 △단기 성장동력화를 위해 가격경쟁력에 집중해야 할 기술로 LED, 고효율 2차전지 등 △산업화 인프라 구축 필요 기술로 H/W 인프라(수소저장, 지능형전력망), 경쟁력 있는 원료 확보체계구축(바이오매스, 우라늄) △국제협력 강화 필요기술로 국제공동연구(핵융합, 기후예측 등), 및 세계적 표준화 선도(그린IT, 지능형 교통 등)을 선정했다.

전략로드맵의 대표적 기술사례로 비실리콘계 태양전지는 2012년 이후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2020년경까지 효율 18% CIGS 박막태양전지, BIPV용 염료감응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해 대면적화기술, 소재기술, 제조기술 등이 개발돼야 하며 이를 보급하기 위해 발전차액보조금 확대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형전력망(Smart Grid)은 2012년까지 우리의 기술・산업경쟁력이 선진국의 95% 수준까지 도달 될 것으로 전망했다. 2012년까지 첨단 검침인프라(AMI) 기술 및 스마트 배전기술 등의 핵심기술이 개발돼야 하며 2020년경까지 스마트 그리드 개발을 완료한다는 전략이다.

2030년경 최초의 국가 단위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할 계획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 관련법의 제정, 실시간 전기요금산정제도의 도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왔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처리 기술(CCS)은 전 세계적으로 2020년 이후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의 기술 수준은 현재 선진국의 60~80% 수준이며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향후 5~10년동안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1tCO₂당 처리비용이 3달러수준이나 2012년까지 20달러까지 낮추면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연소후 포집, 순순소, 연소전 포집 기술개발과 실증이 필요하며 상용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CO₂대량배출업체의 참여 유도와 탄소거래법이 조속 제정돼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녹색 중점기술 개발이 이뤄질 경우 국내 녹색기술수준은 지난해 51%에서 2012년 80%까지 도달하며 수출・내수 규모가 2007년 430억달러에서 2012년 1,100달러로 확대되고 분야별 소요인력은 2012년까지 3만3,000명으로 추산된다.

한편 협의체는 과학기술계, 산업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교육계 등의 녹색기술 전문가 총 39명과 정부관계자로 구성됐으며 지난달 10일 녹색성장위원회가 발족한 ‘녹색성장 산업협의체’에 이어 녹색성장의 두 번째 대화채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