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총괄위원회가 개최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국가로드맵이 확정됐다.

지식경제부는 25일 한국전력공사 대회의실에서 기업·학계·연구계 등이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총괄위원회(위원장 김영학 차관)’를 개최해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은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설정해 시범도시·광역도시 등을 먼저 거점 도시로 구축하고 오는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를 구축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능형 전력망, 소비자, 수송, 신재생, 서비스 등 5대 분야에 대한 단계별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방침이다.

특히 스마트그리드를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과제 중에는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계획과 스마트그리드 특별법 제정 계획이 눈에 띤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대수에 맞춰 충전소를 오는 2011년에 시범도시 200대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2만7,000여대를 구축한다.

충전소는 공공기관, 대형마트, 주차장, 주유소 등을 중심으로 구축되며 초기단계에는 정부에서 일부 구축비용에 대해 재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의 속도감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능형 전력망 구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가칭)’을 올해 중 제정할 계획이며 제주 실증단지에서 검증된 제품과 기술에 대해서는 국가표준으로 제정, 국내 보급사업에 우선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지경부는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민·관 공동분담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총 27조5,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정부의 분담액은 2조7,000억원으로 초기에 핵심기술 개발 및 신제품 시장창출 지원, 공공인프라 구축에 지원하고 기술개발 및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지원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추진한다.

민간의 분담액은 대부분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자발적 투자로 24조8,000억원 규모로 추계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가 성공적으로 구축되는 2030년이 되면 총 2억3,00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누적치), 5만개의 일자리(연평균) 및 74조원의 내수창출(누적치)이 기대된다.

또한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에 따라 47조원의 에너지 수입 비용(석유 4억4,000만배럴 상당, 누적치)과 3조2,000억원의 발전소 투자비용(발전량 5,817MW 상당)도 절감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학 지경부 차관은 “지난해가 스마트그리드의 개념과 방향을 정립하는 한 해였다면 올해는 제주 실증단지에서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스마트그리드가 제2의 원전과 같은 수출전략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민·관 공동의 통합 수출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표삼수 KT 사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 인프라인 스마트그리드 구축 일정을 로드맵에 제시된 것보다 앞당길 필요가 있다”라며 “스마트그리드 성패는 기업들의 참여에 있는 만큼 법적·제도적 뒷받침이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