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가격에 대한 불만 고조로 인해 LPG산업이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
2000년 이후 판매량과 수익 감소 등 더블 딥 영향으로 인해 LPG산업은 수렁으로 빠져 들고 있다.

특히 LPG유통사업자는 물론 상위단계인 LPG공급자도 늘어남에 따라 판매량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지만 도시가스로의 연료전환이 가속화돼 LPG소비자들이 도시가스로 이탈하면서 수익도 악화되고 있으며 적극적인 영업을 통해 거래처를 확보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LPG수송용 연료에 대한 세제개편을 앞두고 석유, LPG 등 직접적인 연관 산업간 힘겨루기가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넘쳐나는 LPG사업자
가정상업용 LPG 판매량은 2002년 250만톤이던 것이 지난해말 기준으로 190만톤으로 떨어졌다. LPG수요 감소현상을 억제해 왔던 자동차용 부탄수요도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LPG소비자 감소에 따른 LPG수요 감소 현상에도 불구하고 사업자 수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어 LPG산업이 재도약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충전 및 판매사업 신규허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LPG공급자도 기존 정유4사, E1, SK가스 등 LPG수입 2사에 삼성토탈이 도전장을 내밀고 LPG충전소 유치에 들어간 상태다.

반면 2001년 823만 가구에 달하던 LPG소비자는 경기침체로 산업체, 음식점 등이 약화되면서 658만가구로 크게 줄어들어 LPG수요 감소를 부채질하고 있다.

충전, 판매를 비롯해 LPG수입 및 정유사 등 LPG공급자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LPG소비자와 판매량은 줄어 앞으로 수익 악화 현상은 심화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대책이 절실해지는 것은 물론 LPG공급자 스스로도 구조조정을 통해 LPG소비자 수에 비례한 공급자 수를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수송용 연료체계 개편 향방은
휘발유와 경유, LPG 등 수송용 연료에 대한 에너지세제개편은 지금까지 두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탄소세 또는 환경세 등의 도입을 위해 제3차 에너지세제개편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각 연료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정부는 수송용 연료의 유종별 상대가격 조율을 통해 에너지산업의 안정 및 수급을 효과적으로 조율하려는 반면 각 연료업계는 세제개편 결과에 따라 수송용 연료시장의 점유율이 달라지는 것은 각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 활발한 활동과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석유업계의 경우 클린디젤차의 고연비, 친환경성을 강조하면서 환경개선부담금 면제, 경유세금 인하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클린디젤 글로벌 포럼, 클린디젤차 포럼 창립 등을 통해 활발환 홍보 활동을 하고 있으며 막대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디젤하이브리드 버스를 시범운행할 계획이다.

향후 유종별 수송용 차량 증감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LPG업계도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석유업계에 비해 자금력이 부족하고 관련 전문가 등 인적네트워크가 떨여져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여의치 않아 보인다. 

CO₂규제를 위해 해외에서는 LPG차량에 대한 각종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는 등 해외 사례 조사는 물론 경유차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 등이 초미립화될 경우 눈에 보이지 않아 환경성은 개선됐다고 볼지 몰라도 국민들의 건강 유해성은 오히려 더 악화시킬 위험이 크다는 점을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에 따르면 초미립화된 미세먼지는 공기를 통해 사람의 호흡기 계통에 달라붙어 건강측면에서는 더 나쁜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