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1년부터 시작된 LNG 탱크로리 수요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당분간은 탱크로리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통영기지는 수요 증가에 따라 탱크로리 공급 설비를 증설 중이다. 

또한 탱크로리 수요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민간에 탱크로리 공급 사업을 이양할 지가 관심사로 떠오를 전망이다. 올 상반기 중으로 결론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량 증가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LNG 탱크로리 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업ㆍ일반용 공급업체 수는 2001년 2개에서 2004년 12개, 2006년 25개, 2009년 51개, 2010년 63개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량도 2001년 857톤에서 2009년 10만톤을 돌파한 10만9,802톤, 2010년엔 11만8,792톤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0년의 경우 수송용 2곳(유성티엔에스, 시영운수), 도시가스용 4곳(경북도시가스 2곳, 참빛영동도시가스, 경남에너지), LCNG충전용(낭월LCNG 등) 4곳, 정선연수원을 포함하면 총 74곳에 약 18만5,837톤이 공급됐다.

올해 공급량이 20만톤을 돌파할 지 지켜볼 일이다. 지난해 대명레저(1~6월: 3,350톤)와 한국화이바(1~4월: 2,049톤)가 배관에 의한 공급방식으로 전환하면서 올해 탱크로리 공급대상에서 제외되지만 신규로 5개 업체 정도가 탱크로리 공급대상(통영기지)에 추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편 군산도시가스는 한국가스공사와 전북 임실군지역에 대한 탱크로리 공급을 협의 중이며 올 상반기에 LNG위성기지 건설공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공급여력 충분
이 같은 공급량 증가세에도 아직은 탱크로리 공급 여력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총 74곳 중 43곳에 공급한 평택기지의 경우 탱크로리 공급설비(총 6열) 증설 여력이 없지만 2012년 말 또는 2013년경 경북도시가스(2010년 3만5,598톤)가 배관공급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어서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또 31곳에 공급한 통영기지의 경우 기존 공급설비 4열에다가 2열을 증설 중에 있는 한편 경남에너지가 2013년 배관공급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어서 공급 여력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가스공사의 관계자는 “평택기지의 경우 탱크로리 산업체 수요가 더 많아지면 현실적으로 공급 여력에 한계가 있지만 대량 수요처인 경북도시가스가 차후 배관공급으로 전환하면 공급능력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탱크로리 공급 변화 오나
앞으로도 저렴한 가격, 친환경성(산업체의 배출가스 저감 필요성 인식) 및 편리성, 민간(기업)에 대한 LNG충전사업 허용 등으로 탱크로리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평택기지의 경우 산업체가 많은 수도권에 있어 산업체의 탱크로리 공급 요청이 많아 현재의 탱크로리 공급설비로는 향후 수요증가를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가스공사의 관계자는 “도시가스 배관망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의 LPG, 벙커C유, 경유 사용 업체들이 저렴한 가격뿐만 아니라 배출가스 저감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LNG로 전환하기 위해 탱크로리 공급 요청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해 탱크로리 공급사업 방식에 변화가 올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가스공사는 자체적으로 계속 탱크로리 공급 사업을 할 지 아니면 (일부)민간에 이양할 것인 지 검토 중이다. 예를 들어 현재는 가스공사가 주간에만 공급하고 있지만 수요가 증가할 경우 LPG처럼 야간에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주간에는 가스공사가, 야간에는 민간 기업이 공급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관련 연구용역이 1차로 완료돼 정부 및 관련 부서와 협의 중이다.

가스공사의 관계자는 “과거에 LPG도 가스공사처럼 공급했지만 수요처가 늘어나면서 민간 기업에 이양된 사례가 있다”라며 “저렴하고 안전한 공급, 소비자 보호, 투자 대비 수익성 등 공사의 경영방침을 고려하면서 제도변화 시 장ㆍ단점, 시행시기 및 방법(당장 또는 단계적)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라며 “상반기 중으로 결론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올 하반기 신규로 탱크로리 공급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5개 업체는 제도변화 여부의 중심에 서 있는 셈이 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