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규찬 기자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라 지방보급사업 등 전국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보급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의 경우 지난 2004년부터 실시한 결과 국산제품을 이용하는 경우는 30%도 채 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중국 및 외국제품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더이상 중국제품은 싼 비지떡이 아니다. 일부 기술은 우리보다 앞서 있으며 품질 또한 이제는 우리와 별 차이가 없다는 게 관련업계 관계자들의 입장. 사업자들은 당연히 저비용 고효율을 원한다. 고효율까지는 아니더라도 비슷한 성능이면 싼 제품을 이용한다는 생각이다.

정부는 국산제품을 쓰길 바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국산제품을 사용한다고 해서 사업자들에게 돌아오는 건 없다. 그렇다고 대놓고 제품구입 시 국산을 쓰라고 말할 수도 없다. 장려만 할 뿐이다. 결국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해 온갖 정책 및 예산 등을 지원해 신재생에너지 5대 강국 실현을 꿈꾸고 있지만 돈 버는 건 우리가 아닌 외국기업이 될 것이다.

이는 비단 정부만 탓할 게 아니다. 소비자, 즉 사업자들부터도 가격만 따지지 말고 향후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해 국산제품을 사용한다면 지금 당장은 손해 보는 것 같아도 앞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이 발전하는 만큼 그 이익은 사업자들에게로 돌아갈 것이다.

정부도 직접적으로 국산화 사용에 대해 운운할 순 없지만 올해 첫 신규사업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관련 기업이 개발한 기술·제품의 사업화를 촉진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을 시작하는 만큼 국내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여 신재생에너지보급에 국산화를 이루는데 일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