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병주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회장
[투데이에너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은 새로운 기로에 서게 됐다.

전 세계 많은 나라들이 원자력 발전 도입하겠다고 프랑스, 일본, 한국 등에 러브콜을 보내고 원자력 교육을 시켜달라고 줄을 서 있었다. 우리는 지금 전기의 고마움을 모르고 그냥 스위치만 누르면 불이 켜지고 전기기구가 작동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이렇게 전기를 풍부하게 쓸 수 있게 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6.25 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던 한국을 전기를 쓸 수 있는 나라로 만들겠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의지 하나로 1958년 원자력법을 만들면서 시작한 원자력 기술개발은 20년 만인 1978년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산업에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하는 계기가 됐다.

우리나라는 원자력을 도입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에는 원자력 기술자립을 완성하기에 이르렀고 2000년대 말에 와서는 드디어 원자력 발전소를 수출하는 나라가 됐다.

한 때 국제원자력기구에서는 원자력 1세대들의 퇴직 등에 의해 원자력 지식의 사장을 걱정했을 정도였다.

원자력연구소에서 중수로 안전해석을 연구하던 본인은 2005년 원자력연수원장직을 맡게 돼 연구원의 전공별, 나이별 인력 분포를 조사한 적이 있었는데 1980년대 원자력 기술자립화 시기에 채용되었던 많은 인력이 기술자립 후 정체돼 있었고 퇴직자 수의 증가와 함께 원자력 전문지식도 전달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국가적으로 원자력 인력의 수요에 대한 예측과 함께 원자력 전문 인력에 대한 역량 증진과 적절한 인력 공급 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2007년에는 원자력발전, 비발전, 연구분야에 대한 2030년까지의 인력수요에 대한 예측 과제를 수행했고 2008년에는 원자력 전문 인력 수요예측시스템 구축을 정부에 제안했다. 당시 정부는 중요한 건 인정하지만 시급하지 않다며 차일피일 미루다가 결국 2009년 원자력 수출이 이뤄짐에 따라 그 이듬해인 2010년 원자력 인력양성계획을 시급히 작성하게 됐다.

아주 최근에는 필자가 지식경제부에서 주관하는 원자력 전문 인력 수요예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 수립을 지원하게 됐는데 그러던 중에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원자력과 관련된 현안에서 원자력 인력통계 및 수급예측은 다시금 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됐다. 그러나 우리는 과거의 원전사고를 경험삼아 놓치지 않아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원자력 인력의 적절한 공급인 것이다.

안전을 위해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은 아마 인재를 예방하는 것일 것이다. 일본의 원전사고는 미국의 쓰리마일이나 소련의 체르노빌 사고처럼 인재라기보다는 자연재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자연재해일지라도 그 사고를 대처하는 것은 결국 인간이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재(人災)를 예방하기 위해 인재(人材)양성은 안전에 가장 긴요한 것이다.

우리는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원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원전 사고시 대처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원전을 운영하고 규제하는 인력의 전문성을 높이며, 업무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충분한 교대근무 인력의 확보도 필요하다. 원자력 인력양성 문제가 그 시급성에서 원자력 안전 문제보다 뒤쳐진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이며 전문 인력은 단기간에 육성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길러지는 것이다. 정부는 원전의 안전을 위해 안전점검과 매뉴얼 작성 등 단기적인 부분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인재양성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