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탱크로리를 통한 소형저장탱크 직판에 이어 LPG용기를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직판문제로 충전ㆍ판매 등 LPG유통업계가 갈등을 빚고 있다.

탱크로리를 이용해 소형저장탱크에 LPG를 공급하는 벌크사업은 이미 충전ㆍ판매업계가 서로 공급처 확보를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격 및 서비스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LPG용기 직판 문제는 양상이 조금 다르다.

충전소는 영업소 또는 LPG판매소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그동안 LPG용기 직판사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성산업 대구충전소는 50kg LPG용기를 주로 사용해 판매량이 많은 음식점 등 상업용 시설을 대상으로 직판에 나섰다. 

지난 4월부터 시작돼 이달까지 4개월째 LPG용기 직판을 진행하고 있는 이 충전소는 물량 유치에 대한 고삐를 더 죄기 위해 1명이던 직판 인력을 이달부터 2명 추가 투입했다.

LPG용기 직판은 대구지역에 국한된 문제에 그치지 않고 충남 서산에서도 이뤄지고 있어 향후 다른 지역으로 직판 논란이 옮겨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LPG용기 직판이 LPG유통업계에 어떤 문제와 파장을 불러올지 미리 전망하고 진단해 보기로 한다.

△ LPG용기 직판, 왜하나?
전체 LPG판매량이 2009년 929만톤에 달했던 것이 지난해에는 915만7,000톤에 그쳐 본격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충전ㆍ판매 등 LPG유통업계가 주로 공급하고 있는 가정 및 상업용 LPG는 2000년대 초반 240~250만톤 판매되던 것이 2008년부터는 160여톤 수준으로 떨어져 30% 이상의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도시가스로의 연료전환이 가속화되면서 LPG사용가구도 20001년 823만에서 지난해 650만가구로 173만여가구가 감소했다.

이같은 수치로만 볼 때 LPG판매량 감소는 자연스러운 모습이지만 충전ㆍ판매 등 LPG사업자 수는 줄지 않고 매년 증가해 LPG사업자에게 돌아가는 이익은 예년에 비해 감소했다.

이를 보전하기 위해 LPG판매소는 2001년 kg당 약 220원이던 마진을 지난 6월 현재 600원 가까이 올리는 것으로 충당한 것으로 보인다.

LPG판매 마진을 지속적으로 올리는 것도 소비자의 가격불만 표출 등으로 연결돼 현재 한계에 달하게 됨에 따라 충전과 판매로 나뉘었던 기존 사업영역을 넘어서 다른 사업분야로 진출을 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LPG용기 직판, 무엇이 문제인가
LPG사용자 입장에서는 LPG유통 사업자간 상호 경쟁을 통한 가격 인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환영할만하다.

하지만 LPG사업자간 과당 경쟁은 LPG산업 자체를 취약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가스안전관리 소홀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는 지역의 영세 서민, 즉 저소득 계층이 사용하는 LPG산업이 취약해지면 다른 연료로 전환하는데 추가 비용을 들게 하는 등 또 다른 비용을 요구하는 환경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특히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여건상 에너지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이 되는 것은 물론 자연재해 등 발생시 배관이 아닌 이동성과 사용상 편리성을 갖춘 LPG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해결책, 무엇인가?
소비자에게 LPG를 공급하기 위해 차량, 기름값, 인건비 등 많은 비용을 부담하면서 가스안전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적정 LPG판매마진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LPG판매량 감소 추세에 맞춰 충전 및 판매 등 LPG유통사업자 수를 정부 주도 또는 사업자 자율적으로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또한 LPG유통사업자는 감소하는 수익을 충당하기 위해 연구개발 또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새로운 수익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소비자들이 언제, 어디에서든 LPG 사용이 가능해야 하고 가격도 저렴한 LPG를 공급할 수 있는 LPG유통시스템을 만들어야 LPG산업의 유지 및 발전이 가능하다.

LPG사업영역을 지키기 위해 더 이상 반목과 갈등을 할 것이 아니라 LPG수입사, 충전 및 판매업계가 해법을 모색해야 LPG산업이 더 이상 사양산업이란 멍에를 쓰지 않고 LPG사업을 유지 및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