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국내 대형풍력 인증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향후 R&D 등에 소요되는 비용 확보가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내기업들을 포함해 세계 풍력시장에서 해상풍력을 위한 5MW급 이상의 풍력발전기 개발이 집중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향후 세계 풍력발전기 시장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라도 대용량 풍력인증 체계 구축은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 대형풍력 인증은 신재생에너지센터를 중심으로 지난 3년간 수백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투자해 3MW급 블레이드 성능평가시스템 장비 구축을 마무리한 상황이다. 그 외 발전기 하중시험 등의 설비평가는 향후 구축될 정부 주도의 테스트베드에서 충분히 진행할 수 있지만 해상풍력을 기반으로 각 기업별로 개발 중인 5~7MW급을 넘어 12MW급까지 풍력인증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향후에도 500억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블레이드 성능평가를 위한 설비가 엄청난 고가 품목이어서 정부기관도 필요한 예산 확보 및 R&D 추진에 2년이 넘는 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풍력인증체계 구축을 위해 현재까지 투자된 비용도 100억원을 훌쩍 넘는다. 

신재생에너지센터의 관계자는 “블레이드 성능평가 설비 구축에만 30억원 가까운 비용이 소모될 정도로 풍력인증체계 구축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5MW급의 경우 기존 구축된 설비에 약간의 보강만 거치면 충분히 구축이 가능하다”라며 “내년부터 성능검사기관 고도화를 위해 2년간 70억원을 투자해 5MW급 성능평가 체계를 완벽하게 구축하게 되지만 7MW급까지 구축하려면 더 많은 비용이 소모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풍력뿐만이 아닌 신재생에너지원 전체 지원을 위해 지경부에 배정된 예산은 1년에 30억원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대형풍력 인증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비용이 필요한 점과 신재생에너지원에 필요한 예산을 풍력에만 집중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해 해상풍력사업과 연계한 별도 예산을 확보할 방침이다.

지경부의 관계자는 “1년에 30억원의 비용만으로 신재생에너지원 전체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라며 “신재생에너지원 전체 예산을 풍력에만 집중 지원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별도예산 책정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한 “해상풍력사업이 풍력인증, 설비 등 종합적인 추진계획으로 진행되는 점을 감안해 단지조성사업과 연계해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