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형준 기자] 고유가 시대를 맞아 연료비를 아끼려고 CNG차량으로 개조하는 택시와 일반 승용차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충전 인프라가 열악하고 관련 법령이 마련되지 않아 지금처럼 지속적으로 CNG차량이 늘어난다면 CNG연료 부족, 안전문제 등이 대두 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급증한 CNG차량 개조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CNG차량은 3,787대다. 120대였던 2007년과 비교하면 4년 만에 31.6배로 늘어났다.

이처럼 CNG차량 개조가 성행하는 것은 CNG가 다른 연료보다 유류세, 교육세 등과 같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아 값이 싼 연료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LPG차량이 장애인과 택시 등에 한정된 것과 다르게 CNG차량 개조는 자격 제한도 없어 교통안전공단 구조변경 승인과 가스안전공사 및 교통안전공단 검사 등 개조에 걸리는 시간도 3일에 불과하다.

△CNG 충전소 확충과 안전문제
CNG충전소는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데다 충전소를 늘리는 것도 쉽지 않다. 서울과 경기 지역 등 수도권에는 46개의 CNG충전소가 운영 중이며 이 중 승용차도 이용할 수 있는 곳은 10개뿐이다. 하지만 충전소를 확충하는 것도 어렵다. 폭발 등 안전 문제로 주민 반대가 심하기 때문이다. 몇 차례 무산된 경우도 있다.

이렇듯 CNG충전소의 부족으로 충전하기가 어렵다 보니 교통안전공단에서 승인받은 원래 용량의 CNG용기보다 더 큰 것으로 바꿔서 다니는 차량도 급증하고 있어 안전문제가 우려된다.

CNG용기자체의 안전성도 문제이지만 CNG차량은 약 200bar의 높은 압력으로 가스를 충전해 운행하기 때문에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이 용기 파열은 물론 밸브류에 대한 손상을 야기시킬 위험이 항상 뒤 따른다. 2010년 8월 행당동에서 일어난 CNG버스 용기 파열사고가 CNG용기 손상과 밸브 오작동으로 인한 내압상승으로 폭발했다.

이렇듯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사고 발생 시 대형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직결되므로 철저한 가스안전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조성과 함께 체계적인 검사 및 책임 소재 규명 절차가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CNG연료 수급 불안감 대두
일본의 원전사태로 인해 세계 천연가스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영향으로 천연가스 공급 부족과 가격 인상이라는 문제가 함께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국내 수송용 CNG연료 수요 증가폭이 더 높아질 경우 국내 천연가스 수급 불안감을 키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CNG개조차량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관련 법 마련 등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