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태범 인하대학교 교수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회장
[투데이에너지]  올 여름은 모두가 공감하겠지만 매우 더운 여름이었던 것 같다. 해 마다 여름이 더워지고 있는 것을 느끼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이 지구온난화 및 환경파괴와 같은 자연 재앙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일을 접할 때마다 우리 모두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우리는 심각한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현재 환경 파괴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이산화탄소 배출은 전기와 같은 우리가 매일 이용하고 있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지만 올해도 전력이 부족해 정부에서는 큰 곤혹을 치른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발전소를 건설하는 일이 급선무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고 이는 환경파괴의 주요 원인이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전 세계가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와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 정부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생산에 많은 연구비를 투지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으로 하여금 이와 같은 노력을 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이런 노력이 일어나도록 많은 정책들을 개발해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화석연료와 비교해서 경제성이 많이 떨어져 정부와 만간의 노력이 쉽게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는 않다.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에 더 많은 애정과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과거와 달리 지금은 여러 가지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널리 알려진 발전용 신재생에너지원은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이나 태양열, 바이오디젤, 조력(혹은 파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을 개발해 이를 활용한 적극적인 전력생산이 시급한 과제 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부 분야에만 너무 편중되는 정책을 지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한 때 선택과 집중이 모든 정책 결정에 있어 기본적인 고려 사항이 됐던 적이 있다. 이를 전적으로 잘못됐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올바른 선택을 담보하기가 너무나 힘든 일이라서 만일 선택이 잘못됐을 경우 지불하게 되는 경제적 부담이 너무 크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자료 중의 하나인 신재생에너지분야 연구비 지원 현황을 보면 2011년도 연구비 액수가 1988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구비를 모두 합한 금액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 투자비의 절대액이 선진국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것을 통계로부터 알 수 있다. 이는 미국의 7.9%, 일본의 18.6%에 불과하다. 또한 특정한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투자 집중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료전지, 태양광 및 풍력분야에 전체 연구비의 65.6%가 집중되고 있다. 이제는 집중적인 투자에 대한 경제적 효과를 꼼꼼히 따져 봐야 할 시점에 도래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는 최후의 보루는 에너지절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전력생산 못지 않게 중요하나 우리 국민 모두 이 부분을 너무 무시하고 살고 있는 것 같다.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도 중요하긴 하나 언제나 초과 생산만을 앞세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 부분에서 전력 소비 절약이 생활화돼야 하겠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