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동위 기자] 석유제품, 석유화학 등 에너지산업의 수출이 고유가와 신흥국 수요 확대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상승을 기록하면서 수출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주요 품목군별 수출비중 추이’에 따르면 석유제품, 석유화학 등 에너지산업의 수출비중은 2009년(13.9%) 이후 2010년(14.4%), 2011년(17.5%), 2012년(18.7%)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유가상승과 신흥국의 수요 확대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석유화학은 중국 등 신흥국의 수요 확대에 따른 국내 업체들의 적극적인 투자로 수출비중 상승을 견인했다. 중국의 유화수요는 2001년 3,700만톤에서 2011년에는 1억300만톤으로 연평균 10.8%가 증가했으며 이는 한국산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상승으로 이어졌다.

석유제품도 국제유가의 꾸준한 상승세와 시장 다변화 등 수출 확대노력에 힘입어 수출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3월 일본의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의 에너지 수요 증가와 한-EU FTA 발효 이후 대EU 수출증가 등이 석유제품 수출을 견인했다.

전체 수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주력제조업의 경우 자동차, 일반기계, 철강 등은 수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반면 섬유와 선박 수출은 최근 급감하는 추세를 보였다.

IT산업은 주요품목의 해외생산이 늘면서 수출비중은 최근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LCD, 반도체 등 전자 부품은 꾸준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경부는 12대 주요 수출 품목의 수출비중은 2007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하락해 수출 품목 편중도가 완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12대 품목의 수출비중은 2005년 82.9%에서 올해(1~10월)에는 79.9%로 나타났다.

특히 2000년대 초·중반에는 IT산업이, 중후반에는 자동차ㆍ철강 등 주력제조업이, 최근에는 석유화학 등 에너지산업이 국내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경부의 관계자는 “주력제조업과 IT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 품목을 개발하고 에너지산업을 주력 수출산업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라며 “해외생산 확대에 대응해 부품소재및 장비의 수출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지식서비스산업 등 새로운 수출동력을 발굴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