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내년도 에너지진단 대상은 646개 사업장으로 그 중 411개 사업장이 1주기에 진단을 실시한 사업장임에 따라 이번 진단이 그동안 진단기관의 역량을 재평가 할 수 있는 시험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에너지관리공단이 조사한 진단결과 개선이행실적 주요 미추진 사유에서 에너지진단의 경쟁력 강화에 가장 큰 걸림돌은 현실성·실효성 결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관련업계들의 불만은 크다. 현재 우리나라에 진단기관으로 등록된 업체수는 총 99개사로 그중 60~70%의 업체가 실제로 진단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년중 진단은 600건에 불과해 한 기업당 연간 많아야 10건 남짓 진단을 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건당 진단비용은 2,000만원 내외로 한 업체가 연간 얻을 수 있는 매출은 2억원 내외에 불과한데 여기에 고급기술직인 진단사들의 인건비 등은 기업들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는 결국 많은 사업자들이 사업을 포기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진단기관들은 진단을 시행하는데 있어서 적정원가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시장경쟁체제에만 맡기다보니 덤핑식의 에너지진단이 시행, 제대로 된 진단을 시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앞서 지적된 미추진 사유 역시 이러한 영향이 어느 정도 미쳤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진단비용을 저가에 책정하다보니 진단에 필요한 고가의 장비들을 사용할 수 없고 결국 현상적인 부분에서 ‘수박겉핥기식’의 진단이 수행되면서 고객들의 불만도 커지는 악순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관계전문가에 따르면 진단사업도 발·수주를 할 수 있는 하나의 컨트롤타워를 지정, 규모에 따른 공정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진단사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에 진단을 희망하는 기업들이 진단신청을 하면 그 기관에서는 소속된 진단기관들에게 적정원가로 분배함으로써 공정거래시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대부분 진단기관들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역량과 관계없이 인식이나 신뢰도를 낮춰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발주 기업들의 불안감 해소 등의 차원에서 진단협회나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컨트롤타워로 나서 진단이 제대로 됐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진다면 보다 수준 높은 진단사업이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