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구역형집단에너지(CES)사업자들이 연이어 전기판매사업을 포기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지난달 광주수완에너지가 CES사업자 처음으로 전기판매를 철회, 집단에너지사업자로 전환하면서 연료비의 급등으로 사업에 어려움을 호소해 오던 여타 사업자들도 사업포기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완에너지뿐만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CES사업자 대부분이 어려운 상황인데다 SMP상한제도가 통과됨에 따라 더이상 사업을 이어나간다는 것은 무리”라며 “그나마 삼천리처럼 상호보완을 해 줄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사업자 외에는 줄도산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CES사업자가 전기판매를 철회하게 되면 일반 집단에너지사업자로 전환되는 것으로써 법적인 제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기판매를 포기할 경우 배전설비 등 전기설비 전체를 한국전력에 판매를 하게 됨에 따라 적정원가를 보상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결국 수완에너지는 이 같은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더이상의 사업을 영위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이에 앞서 경기CES도 법정관리신청을 해놓은 상태지만 아직 어떠한 조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한 경기CES는 주 연료인 LNG요금 체납으로 인해 대륜도시가스와의 갈등을 빚고 있다. 높은 LNG요금과 낮은 지역난방열요금이 상호 부합하지 않으면서 경기CES의 적자폭은 하루하루 커져만 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대륜도시가스는 최근 경기CES에 단가가 높은 보조보일러용만 LNG를 공급, 열병합용은 공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ES사업은 당초 분산형전원으로 전력부하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행됐다. 당시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였던 수준에서는 CES사업자들이 초기시설투자비를 투입하고도 충분한 운영이 가능했지만 배럴당 200달러를 넘나드는 지금은 더이상 가능성을 찾기가 어려워 보인다.

이들 사업자뿐만 아니라 10만kW 이하의 중앙급전 집단에너지사업자는 대부분 이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H공사집단에너지사업단도 마곡지구건설에 기대를 모으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적자폭을 줄이지 못하는 상황이며 부산정관에너지 역시 건설경기 악화로 지구개발이 지연됨에 따라 당초 예상세대수를 충족하지 못해 적자폭 줄이기에 급급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SMP 상한제까지 확정되면서 CES사업자들은 악재가 겹치게 됐다.

적자폭이 커지다보면 사업자들은 결국 사업을 포기하는 방법밖에 남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열병합발전시설의 주 연료인 LNG의 가격은 하루하루 높아져 가는 가운데 CES사업자들이 마련할 수 있는 자구책은 소각폐열 확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환경에 놓여있는 사업자들이 대부분이어서 관계 전문가들은 발전용 LNG를 규모에 상관없이 가스공사에서 직도입해 줄 것과 비상발전 시 적정원가보상 등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하절기 비상발전 시만 하더라도 지난해 6월 기준 전력거래소비용평가 세부 운영규정에는 전력 비상수급상황에서 10만kW 이하 소형CHP 생산전력원가 보상을 받지 못했다. 안산도시개발의 경우 63MW급 CHP를 1회 가동 시 약 3,5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해 5월의 경우 약 6억4,500만원 손실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