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 ‘RPS 신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시행방안’에서 소외됐던 태양열발전과 지열발전이 한창 수립 중인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원믹스에서도 신재생에너지발전 대상에 포함되지 못해 정책적으로 심각하게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핵심은 2027년까지 전력설비 예비율을 22%로 확대하고 원전 신규반영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확정시까지 유보하는 것이다. 또한 2008년 수립된 1차 국기본의 2027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7%를 12%로 확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태양열발전과 지열발전의 경우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재생발전량에 포함돼 있지 않아 사실상 발전사나 대기업 참여가 전무한 상황으로 현재 기술개발 및 사업추진을 주도하고 있는 중소전문기업의 고통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관련업계에서는 RPS 대상에 태양열발전과 지열발전의 선제적 가중치 부여를 통해 정책소외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태양열발전업계의 한 관계자는 “태양열발전의 가중치를 구체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진행된 정부 기술개발과제를 통해 도출된 시설을 이용해 실증과제를 기획, 정확한 RPS 가증치를 산출해야 한다”라며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이 환경조건에 따라 출력변화가 심하고 예측이 힘들지만 태양열발전은 자체열저장장치를 이용해 일정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특히 “태양열발전은 국내의 우수한 플랜트기반기술을 이용해 소요기술을 수입에 의존하지 않는 진정한 국산 신재생에너지원이기에 새로운 블루오션 창출 및 국가의 신성장동력으로써 파급효과 클 것”이라며 “태양열발전은 최근 급격한 기술발전 및 상용화에 접근해 있다”고 강조했다.

지열발전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열발전은 기상여건에 관계없이 365일 24시간 청정전력과 열에너지를 생산해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로 국내 전력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라며 “지열발전은 화산지대를 벗어나 독일 등 비화산지대에서 적극적으로 시도되는 전력생산체계로 2020년 이후 비화산지대의 지열발전이 거대한 전세계 지열발전시장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선제적 가중치 부여를 통해 조속한 시일내에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는 청정신재생에너지원인 지열발전이 RPS 등 국내 전력판매체계 내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며 “적극적인 정부정책이 뒷받침된다면 조속한 시일내 국내 지열발전시장 창출과 해외 기술수출 길이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