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기본방향은 적극적 수요관리를 통해 신규 발전설비 건설소요 최소화와 경제규모에 걸맞는 안정적 예비율 확보, 지역수용성, 계통여건을 고려한 발전시설 확충이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기존의 미시모형과 함께 예측력이 높은 거시모형을 신규 도입했으며 경제성장률, 산업구조, 인구증가율, 기상전망 등을 반영했다.

경제성장률은 3.5%로 상정했으며 산업구조는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대비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 인구증가율은 5차 계획대비 2024년 5.5% 증가하는 것을 전제했다.

예측결과 전력소비량은 오는 2027년 기준 7,710억만kWh로 15년간 연평균 3.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대비 9.2%(6,535억kW) 증가했다.

최대전력은 2013년 8,000만kW, 2017년 하계 9,000만kW를 넘어 2019년 하계에 1억kW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4년 기준 최대전력은 1억1,660만kW로 5차 계획대비 8.5%(1억744만kW) 증가 했다.

발전설비 건설계획은 발전기 고장 등에 대비한 최소 설비예비율 외에 수요 불확실성을 감안해 오는 2027년 22%의 예비율 목표를 설정했다.

노후화 등으로 인한 발전기 고장정지, 예방정비 등을 고려해 최소예비율도 15% 수준으로 유지했다.

특히 원전 안전성 강화를 위해 예방정비 기간연장 등 원전 이용률을 하향조정함에 따라 예비설비 추가 확보한다.

신규발전설비 규모는 오는 2027년 기준 목표수요 1억1,089만kW에 22%, 예비율 및 건설 불확실성을 고려한 1억3,910만kW다.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까지 반영된 확정설비 1억953만kW를 제외하면 신규 필요설비 용량은 2,957만kW다.

또한 민원 등에 따른 발전소 건설 지연에 대비해 별도로 390만kW 정도로 발전설비 건설계획에 반영했다.

특히 원전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확정시까지 신규반영을 유보했다.

이에 따라 이번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석탄·LNG 등 화력발전분야가 큰 관심을 받았다.

2년전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때만 해도 국가 전원 구성은 원자력과 신재생 비중이 확대되고 화석연료 발전은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반해 이번 6차에서는 예상 밖의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발표한 화력발전 비중은 석탄화력 1,074만kW, LNG 506만kW로 총 1,580만kW에 달했다.

설비용량만 놓고 보면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때 화력발전 신규 의향인 1,590만kW와 비슷한 규모다.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확정 당시 절반 이상이 비확정 설비였지만 이번 6차 수급계획은 1,580만kW가 확정설비다. 다만 불확실 대응설비로 382만kW 규모가 있다.

특히 민간기업의 발전사업 진출이 크게 증가했다.

민간기업은 석탄화력 부문에 SK건설(NSP IPP 1.2호기 총 200만kW), 삼성물산(G-프로젝트 1.2호기 200만kW), 동양파워(동양파워 1.2호기 200만kW), 동부하슬라(동부하슬라 1.2호기 200만kW) 등이 사업권을 따냈다.

또한 LNG복합화력부문에는 GS EPS(당진복합5호기 95만kW), 대우건설(대우포천 1호기 94만kW), SK E&S(여주복합 95만kW), 현대산업개발(통영복합 1호기 92만kW) 등이 사업권을 획득했다.

한전 발전자회사 중에서는 석탄부문에 남동발전과 중부발전, LNG부문에 서부발전만이 사업권을 가져갔다.

이번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민간기업 진출은 지난해 7월 건설의향서 접수 당시 4,000만kW의 규모가 신청되면서 예견됐다.

석탄화력발전은 정부가 민간석탄화력 사업에 보정계수를 적용한다는 방침에도 불구하고 민간기업들의 진출은 거셌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는 이번 6차 전력수급에는 구체적 언급은 없으며 발전설비를 2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만 세웠다.

한편 이번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과정에 대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들의 비판이 지적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