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LPG용기에 비해 높은 경제성을 앞세워 성장하기 시작한 LPG저장탱크시장에서 외국제품이 지난해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해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LPG저장탱크를 비롯한 국내 가스제품이 해외시장 진출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외국제품은 공장등록 등의 절차와 함께 LPG시장에서 저가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 이같은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집계한 ‘LPG소형저장탱크 생산 및 검사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8,392기 가운데 국내에서 생산된 LPG소형저장탱크는 3,977기로 47.4%를 차지한 반면 앤젠, 유인솔루션 등에서 수입된 용기는 4,415기로 52.6%를 차지했다.

미국 맨체스터사와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한 앤젠(대표 정재호), 트리니티인더스티리와 계약을 체결한 유인솔루션(대표 이종민) 등에서 200kg 소형저장탱크를 수입하기 시작한 2011년만 하더라도 국내생산 제품이 3,837기로 70.7%를 차지하고 수입제품이 1,590기로 29.3%를 차지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같은 현상은 박근혜 정부가 국내 중소기업과 내수 경기 활성화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LPG소형저장탱크, 고압가스용 저장탱크 및 압력용기 제조의 시설기술검사기준에서 사실상 역차별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철강재료 및 비철금속재료가 상온에서 최소 인장강도 1/3.5, 항복점 1/1.5로 정의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테이블 값은 종전 1종, 2종, 3종으로 구분해 허용인장응력을 30MPa 이하의 2종 용기는 인장강도 1/4로 그대로 사용되고 있어 압력용기 철판 최소두께가 14%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1년 동안 1,000톤의 철판을 사용하는 국내 소형저장탱크 제조사라면 약 140톤에 달하는 철판을 더 사용하게 되고 철판가격이 kg당 1,000원일 때 약 1억4,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더 소요돼 사실상 해외에서 수입되는 소형저장탱크에 비해 가격경쟁력 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외국산에 비해 철판 등 원재료 비용도 더 많이 들 뿐 아니라 소형저장탱크 제조기술이 ASME 등 해외 기준을 적용받는 제품보다 더 두껍고 무겁게 만들게 돼 국내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이 충전소, LPG판매소 등의 선택에서 외면받는 환경이 되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가스안전공사의 관계자는 “용접사기량시험 등과 같이 각국 제도 차이와 장단점이 있지만 한쪽 측면만을 너무 중요하게 부각시킨 측면이 없지 않다”라며 “철판 허용응력 값을 미국 ASME 기준과 같은 수준으로 상반기 중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국내 제조업체의 한 관계자는 “내수를 기반으로 소형저장탱크 등 국내 가스관련 제품들이 해외에 많이 수출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정부와 관련기관에서 실질적인 지원 방안 등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노력을 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