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창규 한국지역난방공사 성장동력처 RPS TF팀장
[투데이에너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럽 열병합협회(EU RO HEAT&POWER)세미나에서 가장 눈길을 끌었던 것은 지역냉난방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이나 화석연료 사용 저감,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하는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2050년까지 지역냉난방 확대보급의 실현 가능한 목표와 성과를 설정하기 위한 노력과 스마트시티에서 지역냉난방의 역할에 관한 사항이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2011년 3월 유럽을 2050년까지 경쟁력있는 저탄소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유럽 에너지 로드맵 2050’을 채택, 이 로드맵은 유럽연합이 2050년까지 1990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80~95%를 저감하는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유럽 열병합협회는 지역냉난방 확대보급이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수준 및 효과를 ‘유럽 열 로드맵 2050’이라는 연구를 통해 제시했는데 지역냉난방 보급률이 2010년 기준 12%에서 2030년까지 30%, 2050년까지 50%로 성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예상하고 이는 ‘유럽 에너지 로드맵 2050’의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2050년에 50%까지 확대 적용될 경우 이산화탄소 저감은 물론 지역냉난방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사용 등으로 인한 화석연료 수입 감소로 연간 44조원의 연료비용이 절감되는 내용을 수치화 했다.

스마트 시티에서 지역냉난방의 역할 부분에서는 낮은 온도의 열을 충분히 활용하고 구글, 네이버 등 오늘날 검색엔진이 고객의 요구에 맞게 검색정보를 알려주는 것처럼 지역냉난방도 사용자가 스스로 지역냉난방 사용량 및 온도를 측정 및 분석, 사용자의 요구를 인터넷 통신을 통해 열원에 전달함으로써 열원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수준의 적정 에너지 공급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지역냉난방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를 도모하는 방안이나 전기 가격이 높을 때 전기를 생산하고 이외에는 열을 생산해 축열조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지역냉난방시스템이 더욱 스마트해 지도록 하는 방안 등이 소개됐다.

이 외에 체코가 최근 지역냉방을 중부유럽 최초로 적용한 사례 등 다양한 지역냉방사례에 관한 발표도 했지만 이는 이미 상암, 판교 등 대규모 지역냉방을 공급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달리 이제 막 시작하는 수준으로 보여 특별하게 눈에 띄지 않았으며 우리나라가 오히려 선도적 위치에 서 있는 듯 보였다.

우리나라는 정부에서 집단에너지의 계획적인 보급 확대를 위해 매 5년마다 공급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그 기대효과를 논하는 등 단기 로드맵 위주로 지역냉난방 확대보급 정책을 시행하는데 반해 유럽은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지역냉난방 장기 로드맵을 구축하고 그것이 국가의 정부정책과 일치한다는 점을 강조해 유럽정부가 지역냉난방에 우호적인 정책을 지속해서 펼 수 있도록 돕는데 노력하고 있다. 시대의 변화흐름에 맞는 지역냉난방 시스템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이어 진행된 덴마크정부와의 집단에너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Anders 덴마크 에너지총괄담당관은 “지역냉난방을 통해 유럽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발전소, 배관 등 에너지생산 및 공급설비는 한번 건설되면 20~30년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금부터 친환경 에너지시설 건설을 위해 노력해야 2050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우리 지역냉난방 업계에서도 지역냉난방 보급 장기목표 및 효과 분석을 통해 지역냉난방의 확대보급 당위성을 사회에 알리고 지속가능한 정책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