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동위 기자
[투데이에너지 박동위 기자] 편리한 운송수단인 자동차, 집을 따뜻하게 해주는 보일러 등 우리가 이러한 편리함을 누릴 수 있는 데는 바로 ‘석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유는 사용할 수 있는 양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고갈되게 돼 있다. 이 때문에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우리나라도 석유고갈에 대비해 지난 2006년 바이오디젤 산업의 육성에 나섰다. 특히 지난 2007년에는 바이오디젤 중장기 보급 로드맵을 발표하고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혼합하기 시작했다.

정부가 발표한 로드맵에 따르면 2012년 경유에 혼합되는 바이오디젤의 혼합비율을 3%까지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5% 늘리겠다는 것이 보급 목표였다.

정부의 보급 로드맵에 따라 많은 바이오디젤 업체들은 생산 공정의 증설에 나섰다. 바이오디젤시장은 활성화를 띄게 됐으며 에너지가 거의 없는 우리나라가 산유국이 될 수 있다는 부푼 꿈도 갖게 했다.

하지만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은 2010년에 정해진 2%에 머물러 있다. 이 때문에 국내 바이오디젤업체 대부분은 현재 경영상황이 너무 열악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처럼 정부 정책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혼합비율이 2%에 머물러 있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바이오디젤 원료의 국내산 비중이 낮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하지만 에너지의 거의 전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바이오디젤 원료의 국내산 비중만을 논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또한 기름값을 낮추겠다는 명분도 바이오디젤 보급 정책이 애초에 원칙조차 없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2015년 RFS 도입을 앞두고 있지만 여러 반대 논리에 막혀 도입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미래에너지원에 대한 확보를 더 이상 늦춰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