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서울시 9호선 운영주식회사

[투데이에너지 김보겸 기자] 서울시 도시철도설비부가 신설되는 라인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LED조명, 회생전력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서울시 도시철도설비부는 9호선 3단계(931~938정거장), 신림선(신림-봉천구간, 경전철), 우이선(우이-신설구간, 경전철)에 신재생에너지(지열, 태양광, 태양열), 회생전력, LED조명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신재생에너지 및 LED조명이 도시철도에 도입되는 배경으로 △공공부문 에너지절약 △서울형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조성 △에너지 자립도시 서울 지향(성공적인 원전 1단계 사업과 함께 ‘원전하나줄이기 2단계’ 연속 시행) △서울시 공공시설에 획기적인 에너지 실행대책 마련 등을 꼽았다.

또한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 의무 비율보다 3% 이상 상향 조정된 올해는 21%, 2017년 24%의 보급 목표를 이루고자 추진한다.

아울러 정부의 LED조명 보급 기준은 올해 80%, 2017년 100% 목표로 두고 있다. 서울시는 2년 빨리 단축해 2015년에 100%를 달성했다.

서울시 도시기반설비본부는 신재생에너지와 LED조명, 회생전력을 도입함으로써 에너지절감량 9,856MWh/년, 절감금액 12억100만원, 온실가스 4,452TCO₂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공공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면 정부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지하철역은 건축물에 포함되지 않아 정부 지원 없이 서울시 자체 예산 및 민간투자를 받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생에너지 통한 에너지효율 ‘UP’

9호선의 지열시스템은 수직형, 수평형, 개방형의 다양한 공법들을 적용해본 결과 수직밀폐형으로 선택했다.

또한 신림선의 경우에는 땅속의 지하수를 활용해 지열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다. 도림천 옆으로 지하철 노선이 생기는데 이를 이용해서 지열을 도입한다.

우이선은 시추할 때 땅속이 전부 암석이라서 지열시스템을 적용하지 못했다.

서울시는 지열시스템의 도입배경으로 땅속 온도가 지상 온도와 관계없이 항상 15℃ 내외로 유지되는 땅속 150m 깊이의 지열을 배관을 통해 얻어 하절기에는 실내의 뜨거운 공기를 차가운 지열에너지로 바꾸고 동절기에는 땅속의 따뜻한 열을 실내로 전달해 에너지효율을 높인다는 취지다. 한편 지열은 직원들 근무지역 및 수유실 냉난방에 쓰인다.

태양광 및 태양열시스템은 건물 옥상, 엘리베이터에 설치가 되며 차량기지와 정거장에 발전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태양광에서 생기는 전기는 엘리베이터 외부 출입문, 종합 관리동 조명에 태양열은 화장실 및 샤워실 급탕에 쓰인다.

■회생전력 통해 전력사용량 감소

서울시는 지하철역에 LED조명을 설치해 에너지절감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이는 LED사업과 산업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회생전력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지하철 전동차가 정차 시 공급전원을 차단하면 전동기가 관성에 의해 한동안 회전을 하면서 발생하는 전력을 말한다. 이는 하이브리드자동차와 같은 원리이다.

서울시는 회생전력의 저렴한 초기투자비와 회수기간이 짧아 7호선 몇 개의 정거장에도 도입했다.

서울시가 2013년 7호선 정거장에 회생전력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하고 5일 동안 비교한 결과 에너지저장장치를 정지시켰을 때는 4만7,798kWh, 동작시켰을 때는 3만9,328kWh의 소비전력이 발생해 8,470kWh의 차이를 보였다.

서울시의 관계자는 “도시철도 역사 내 회생전력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해 정차할 때 발생하는 전기를 저장시켜 뒀다가 다음 열차 출발 시에 재사용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회생전력 재이용 장치 도입으로 서울의 지하철을 초절전시스템으로 탈바꿈시켜 전력사용량을 절감해 나가는 데 주력하겠다”라며 “전력사용량 급증으로 인한 블랙아웃 시에도 안전한 지하철 운행이 될 수 있도록 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국내 건설사들 시공 맡아

9호선 3단계의 경우 △918공구(931정거장) SK건설(주)이 시공 △919공구(932~933정거장) 삼성물산(주)이 시공 △920공구(934정거장) 롯데건설(주)이 시공 △921공구(935~936정거장) (주)포스코건설이 시공 △922공구(937정거장) (주)대우건설이 시공 △923공구(938정거장) 대림산업(주)이 시공 중에 있다.

신림선은 모두 대림건설이 시공하며 우이선은 △1공구(차량기지, L01~L03정거장) 대우건설 시공 △2공구(L04~L07정거장) 두산건설 시공 △3공구(L08~L10) 고려개발 시공 △4공구(L11~L13정거장) 포스코건설(주) 시공한다.

■친환경에너지 활용해 전력난 극복

서울시는 9호선 3단계에 정거장 당 1,000억원(서울시 예산) 투입되며 총 연장거리는 9.14km다.

우이선, 신림선은 정거장 당 800억원이 투입되고 민간투자를 받아 진행된다.

도시철도설비부는 우이선은 2009년 9월에 시공해 오는 11월에 준공을, 9호선 3단계는 2009년 12월에 시공해 2017년 12월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신림선은 아직 설계 중에 있다.

서울시의 관계자는 “서울시가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신설라인에 대해서는 신재생에너지를 투입해 에너지절약 및 원전하나줄이기 2단계 목표를 이룰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를 장려하고 기후온난화를 대비하기 위함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100% 전기만을 사용하는 지하철에서 벗어나 친환경에너지를 활용하는 지열시스템 도입은 에너지를 활용하는 능력이 국가 경쟁력인 시대에 큰 의미가 있다”라며 “하절기와 동절기 냉난방으로 인한 전력난 극복에 기여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