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미세먼지로 우리나라가 시끄럽다.

지금 당장의 건강 위해성은 물론 앞으로 나타날 피해 우려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도 미세먼지에 대한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하지만 피부에 와 닿는 대책 마련이 나올지에 대한 기대감은 높지 않다. 세수와 환경, 안전 등에 대한 정부부처의 생각이 다를 뿐 아니라 관련 업계도 논리와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만 하더라도 클린디젤은 거의 대세였다. 대부분의 언론과 전문가들이 CNG버스나 LPG 등 특정 연료가 아닌 경유차량, 즉 클린디젤을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체연료로 부각시키기 급급했다.

국회도 마찬가지였다.

정부 후원을 통해 2011년 클린디젤 국제 심포지움까지 개최했으며 이명규 전 의원, 이상득 전 의원이 국회 클린디젤자동차포럼 공동 의장을 맡아 클린디젤의 보급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그 결과 경유차량 보급은 확대됐지만 미세먼지로 국민들은 시달리고 건강 위협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벤젠, 톨루엔 등 발암물질을 함유한 중국발 미세먼지 영향도 있지만 운행 중 경유차나 석탄발전소에서 내뿜는 미세먼지를 경제성과 효율성을 앞세우는 대신 국민 건강을 외면한 당연한 결과라고 지적하면 너무 억측일까?

환경문제와 택시업계 수익성 개선을 위해 클린디젤 택시 도입을 주장하며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이명규 전 의원을 비롯해 환경친화적자동차의보급및촉진에관한법률에 클린디젤차를 포함시킨 모 의원, 시민 안전문제와 함께 연비가 나쁘고 온실가스에도 문제가 있다며 클린디젤을 옹호했던 J 전 기계연구원 박사 등 적지 않은 전문가들도 지금 어디 있는지 궁금하다.

정부는 물론 업계 및 전문가집단에서도 책임을 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볼 때 안타까움이 적지 않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