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내수 부진이 우려되는 LPG산업에 새로운 사업 모델 제시가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스팟 시장에서의 현물거래가 활성화되면서 해외 트레이딩을 통한 수익률 개선에 도움을 받아온 것이 현실이지만 언제까지나 지속돼 갈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4년 하반기부터 진행된 유가 하락으로 셰일가스 개발이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지만  떨어진 가격 탓에 LPG수요 증가를 통해 감소한 수익을 보전하는 것이 대체적인 모습이었다. 

납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개선되면서 석유화학과 산업용을 중심으로 한 LPG수요 증가에 힘입은 영향이 큰 것이다.
  
증가한 수요의 대부분은 LPG수입 수요가 높은 아시아지역에 여전히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E1과 SK가스 등 국내 LPG수입사를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탱크 터미널 건설과 운영에 포커스를 맞춰 해외 트레이딩 사업에 대한 비중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변수가 많아졌다.

OPEC과 비OPEC의 감산 기대감이 높아지고 IEA의 석유 수요 상향 조정, 미 원유 재고 감소 등이 추정되면서 LPG가격이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미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으며 앞으로 3차례 더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어 환율 상승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떨어진 가격과 추가 생산 및 공급된 LPG물량이 타 연료 대비 LPG가격 경쟁력을 높여왔고 이것이 수요 증가로 연결돼 왔었다.

이런 가운데 내수 시장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자구도로 전개되면서 유통 효율화와 경쟁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업체가 LPG수입시장에 새롭게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고 충전소와 LPG판매소는 사업 경계가 사실상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LPG산업의 점유율과 역학에 대한 관심이 없이 자기 자신과 본인이 속한 기업의 성장만을 바라는 것은 중장기적인 LPG산업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전체 파이를 키우기 위해 LPG산업에 새로운 모델 제시와 방향성 마련이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