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디스플레이 사업장에서 대·중소기업 및 정부의 관계자들이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김보겸 기자] 2012년 9월 구미불산 누출사고 후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화학안전 관리실태가 도마에 올랐다. 이에 이들 사업장에 대한 현장 밀착형 대책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그 결과 정부는 2013년 7월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 수립했다.

이는 대·중소기업간 안전관리시스템 공유를 통해 중소기업 안전관리 역량 제고 및 화학사고 예방·대응분야를 공동협력해 화학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화학안전 공동체의 운영은 중소기업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해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통해 중소기업에 도움을 주는게 주 목적이다.

화학안전 공동체는 2013년 40개 공동체, 334개 업체를 구성·운영하기 시작해 2016년에는 (6월 기준) 76개 공동체, 585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그동안 성과를 살펴봤다. /편집자주

■환경청별 화학안전 공동체 그간 활동실적은

한강유역환경청의 화학안전 공동체는 지난해까지 141기업, 22개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동부(13개사), 서부(57개사), 남부(60개사), 북부(11개사)로 구성돼 있다.

한강청 화학안전 공동체는 2014년에 1~5차 공동체 모의훈련 및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또한 2015년에는 협업카드, 핫라인 구축, 사고대응 매뉴얼 작성지원, 워크숍 개최, 우수사례 견학 등을 통해 화학사고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한강청은 신규 공동체 구성 등 참여 사업장을 확대 운영하고 있으며 대·중소기업간 협업 네트워크 기반 자율관리(혹서기 공동체 내 화학사고 ZERO 구현 등 화학사고 취약시기대비 자율점검 및 안전교육 강화, 공동체별 자체 안전점검 목표 설정, 사고대응 합동 모의 훈련)를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유예기간이 만료(2016년)된 화관법상 법령 준수를 위한 참여 사업장 맞춤형 법령 교육 등을 실시해 신규법령에 대응 지원을 해주고 있으며 장외영향평가·위해관리계획 무료 컨설팅 지원 및 도상 훈련을 통한 사고대응 매뉴얼 작성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무사고 달성 공동체 및 업체간 기술지원 실적 우수 공동체에 포상 등 인센티브 부여도 검토하고 있다.

이에 한강청의 관계자는 “훈련 및 간담회를 통해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방법 및 노하우를 중소기업에 알려줌으로써 화학사고가 매년마다 감소하고 있다”라며 “공동체 합동 간담회를 통해 공동체 운영에 관한 의견수렴 및 개선안 발굴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011년 8월 울산석화단지 화학물질 지역 협의체를 구성해 2014년 5월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낙동강청은 총 94개 기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화학사고 대응 실제훈련을 대기업 중심으로 실시하고 낙동강청·선도기업간의 MOU도 체결했다.

또한 정기회의 운영, 민관 공동대응 합동훈련, 화학사고 비상대응훈련 컨설팅 실시(수시), 칠서산단 화학안전협의체 추가 구성, 화학사고 민간 공동대응 협의회 협약식, 공동대응 협의회 내 불산협의회 추가 구성, 공동대응 협의회 상·하반기 정기회의 개최 등을 실시했다.

아울러 화학안전관리 밴드시스템을 만들어 관련 기업과의 화학안전 관리 협약식을 체결했다. 밴드시스템은 대기업·협력업체간의 산업생태계 내 협업 관계를 기반을 화학안전 관리분야 멘토링시스템을 적용해 화학사고를 예방하는 업체 자율적 화학안전 관리 체계다.

금강유역환경청은 3개 권역(대전·세종, 충남, 충북), 10개 공동체(63개 기업)를 운영하고 있다.

화학물질 취급시설 공정 작업 관리 지침 마련 및 공유, 사고 발생대비 비상연락체계 구축 및 방제자원 공유 등 공동방제계획 수립, 민·관 합동훈련 실시, 화학사고 대비 교육, 기술지원 등을 지원하고 있다.

화관법, 화평법 시행 대응 협의 및 개선방안 검토, 2015년 대·중소기업 연합 안전관리 공동체 확대·운영 계획 수립, 신규 구성 공동체별(3개 산단) 발족식 개최 등의 활동도 이어졌다.

금강청은 화학물질 관련업무 종사자들이 준수해야 할 법적 이행사항 및 절차, Q/A 등을 담은 ‘화학안전 길라잡이’를 지난해 발간했다.

특히 화학관련 업무 종사자들이 화평법, 화관법, 환구법, 석면법의 제반 규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법적 준수사항을 그림·도표 등으로 알기 쉽게 표현했다.

금강청의 관계자는 “화학안전분야의 민·관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을 기대한다”라며 “지역주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안전망 구축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6개 권역(여수, 광양, 대불, 순천, 율촌, 광주하남), 10개 공동체(화학사고 긴급대응반)을 구성하고 제주지역 3개 권역별(제주, 제주서부, 서귀포) 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

영산강청은 2013년 공동체 구성을 통해 사고발생대비 방제장비 공동 활용 협약을 체결, 권역별 화학사고 대응 합동훈련 등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제주지역 안전관리 공동체를 구축해 자율적인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를 마련했으며 육·해상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공동체도 추가로 구축했다.

원주지방환경청은 4개 권역(강원, 충북1북부권, 충북2북부권, 충북3북부권), 8개의 공동체로 이뤄졌다.

물질별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정보 공유 및 운영성과 점검(반기별)을 실시하고 있으며 화학안전 공동체 추진성과 발표회 및 공장장 간담회로 화학사고 예방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10월에는 화학사고대비 대·중소기업 화학안전 공동체 민·관 합동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이때 원주청은 질산 저장탱크 내의 이상발열 반응에 의한 폭발·파손으로 인한 다량의 유해화학물질 가스가 인근 사업장 및 주택가 밀집지역으로 확산되는 상황을 실전과 같이 훈련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2개 권역(구미·포항산단) 6개 공동체(66개 기업)로 이뤄지며 환경·안전관련 교육자료 공유 및 구미·포항산단 공동체별 간담회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구청은 구미산단(1단지-1), 안전한국훈련(CPX, FTX) 등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성서산업단지와 달성산업단지의 대·중소기업 화학안전공동체 확대 업무협약식도 개최했다.

협약서는 화학안전공동체 참여 기업 종사자에 대한 교육과 기술지도 각 기업이 보유한 방제자원 공유, 화학사고 시 공동대응, 합동방제훈련, 화학물질안전관리 정보공유, 비상연락망 유지 등에 관한 사항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새만금지방환경청은 5개 권역(전주, 익산, 완주, 군산, 정읍), 10개의 공동체(40개 기업)를 구성하고 있다.

새만금청은 지난해 대·중소기업 안전관리 공동체 내실화를 위해 취급물질, 업체간 이격거리 등을 고려해 공동체를 정비하고 산단 소재 화학물질 취급업체(118개소)의 50%(60개소)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했다.

또한 5개 산단 화학물질 취급업체의 74%(86개소)가 소재한 익산·군산에 각 1개 공동체를 추가로 구성했다.

새만금청은 공동체별 공동방재계획 수립, 대응협력체계 강화방안 논의, 애로사항 발굴, 시설보완 우수사례 등을 공유하는 간담회도 추진했다. 아울러 화학사고 자율방재단을 구성해 운영 중에 있으며 화학안전 공동체 운영 우수사업장 현장견학도 실시했다.

▲ 환경청별 화학안전 공동체 현황.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