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성혁 기자]

‘녹색·기후기술 글로벌 기관’으로 정체성 재정립
 
국내 최초 기후기술지원사업 2건 수주…해외진출 ‘마중물’ 역할
기후변화협약 국가지정기구 미래부 전담기관으로서 ‘제기능’ 강조
 
지난해 말 미래창조과학부는 개도국 기후기술협력 기술지원과 관련해 의미있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국내 한 기관이 아프리카 케냐가 요청한 ‘지속가능 수자원 서비스 공급을 위한 저비용 녹색기술 촉진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힌 것이다.
 
이 사업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산하 개도국 기술지원체제의 실질적 이행기구인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가 발주한 기술지원사업으로 국내기관이 주관으로 참여해 사업을 수주한 것은 최초의 일이다. 또한 CTCN 회원기관으로서는 세계에서 6번째 수주기록으로 남게 됐다.
 
이 같은 성과를 이끌어낸 곳은 지난 2013년 녹색성장 정책기관으로 설립된 녹색기술센터(GTC)다. 녹색기술센터는 케냐사업 수주 한 달 전에도 CTCN사업을 따낸 바 있다. 아프리카 기니가 자국 내 심각한 가뭄해결을 위해 CTCN에 기술지원 요청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술 프로젝트 재정 접근성 강화사업’으로 프랑스 비정부기구인 에너지환경연대(GERES)와 공동참여해 사업을 수주했다.
 
오인환 녹색기술센터 소장은 “국제기구인 CTCN이 발주한 기술지원 사업을 2건이나 수주한 것은 국내 기후기술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기후변화시장은 앞으로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번 수주로 국내 우수한 에너지·환경분야 기술을 개도국에 이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CTCN사업은 개도국 정부의 기술지원 요청 계획을 받아 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할 사업을 선정한 후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를 통해 발주된다. 이 발주사업은 CTCN에 가입한 기관만이 입찰할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세계적으로 244개 기관이 CTCN에 가입돼 있고 이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만 32개 기관이 가입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네트워크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2위인 미국의 19개 기관수와 비교해도 압도적인 숫자다.
 
국내에서 첫 CTCN에 가입한 곳은 한국에너지공단이다. 공단은 2015년 2월 국내기관으로 최초로 가입했다. 녹색기술센터는 같은 해 공단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이어 국내 세 번째로 CTCN 네트워크 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오 소장은 “최근 국내기관의 CTCN 가입이 늘어난 것은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신기후체제 전환으로 향후 개도국 기후기술 사업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며 “예를 들어 2014년 CTCN을 통해 발주된 개도국 요청사업은 20여건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158건으로 요청사업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가 국내 최초 사업수주를 따냄으로써 CTCN 수주사업에 정부와 기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향후 국내기관의 사업 수주 역시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녹색기술센터가 기후기술 해외사업 진출의 마중물 역할을 한 셈이다.
 
녹색기술센터는 이 같은 환경변화를 반영해 지난해 비전과 전략목표를 대폭 수정했다. 녹색기술로 한정된 정체성을 벗어 버리고 신기후체제를 적극 반영했다. 오 소장은 “파리협정을 계기로 기후산업이 큰 주목을 받고 있는만큼 글로벌 녹색·기후기술 선도기관으로 나아갈 뜻을 비전으로 구체화했다”라며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이 개도국 기후기술 이전과 녹색·기후기술 정책수립”이라고 소개했다.
 
오 소장은 지난해 제2대 녹색기술센터 소장으로 취임했다. 이후 신기후체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관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마련한 것이다.
 
올해 사업추진에 대한 기대도 밝혔다. 오 소장은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지정기구(NDE)가 미래부로 녹색기술센터는 미래부를 지원하는 전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녹색·기후기술의 국내외 확산과 이전을 위한 국가전략을 제시하고 한국형 기후기술 협력 모델을 정립해 국내 기후기술 산업의 해외진출 등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녹색기술센터는 CTCN 네트워크 참여 국내기관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공단,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발주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한 기술이전 연구용역사업을 맡은 것은 물론 미래부가 올해 발주한 기후기술 개도국 현지사업화 연구사업을 수주했다.
 
오 소장은 기술력을 기반한 사업수주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녹색기후기금(GCF) 접근성이라고 말한다. 오 소장은 “(우리나라가)해수담수화기술이나 폐기물, 하수처리 등 기후기술은 뛰어나지만 국제기금 활용실적이 저조하다”라며 “가장 먼저 GCF 운영방식을 고려해 정보수집과 이행기구 네트워크 관리능력을 높이고 한국 내 사업보다는 국내기관이 추진하는 개도국 기후변화사업에 GCF를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GCF는 개발도상국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관련 금융지원을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다. 한국은 2012년 독일, 스위스, 멕시코 등과 GCF 사무국 유치 경합해 나서 최종 유치에 성공한 바 있으며 2013년 12월 인천 송도에 둥지를 틀고 공식 출범했다.
 
한편 오인환 녹색기술센터 소장은 올해부터 2년간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를 이끌 제16대 회장에 선출됐다. 이에 수소사회를 앞당기기 위한 의지도 밝혔다. 오 소장은 “최근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이슈가 확대되면서 무공해 차량인 수소전기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라며 “수소전기차 보급은 수소에너지의 산업적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관련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학회의 움직임도 달라져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올해부터는 학술대회 중심의 학회 활동에서 한 발 나아가 수소에너지 홍보 및 대중화를 꾀하고 연구·기술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우리 혼자만이 아니라 수소산업 협단체와 함께 추진하는 시스템을 마련해 업무 시너지를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