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이종수 기자] 올해 2/4분기 원유 수입과 석유제품 수출입(물량 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지만 석유제품의 생산과 소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4분기에는 주요 정유사들이 정제시설 유지보수에 돌입하면서 원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0.7% 감소한 2억6,450만 배럴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아시아와 유럽지역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하면서 중동産 원유 수입이 3.6% 감소해 중동에 치중된 원유 도입선의 다변화가 다소 진전됐다.

미국産 원유 수입은 증가했지만 멕시코産 원유 수입 감소로 미주産 원유 도입은 전년 동기대비 17% 감소했다.

특히 상반기 전체 미국産 원유 수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664.5% 증가한 310만 배럴, 수입액은 859.9% 증가한 1억5,690만 달러를 기록했다.

▲ 주요 석유제품별 생산량(백만B, %).
석유제품 생산량은 2억9,000만 배럴로 전년 동기대비 2.1% 증가했다.

이는 원유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정유사가 벙커C유(중유) 등 중질유를 고도화 설비에 재투입해 경질유(휘발유, 경유, 등유 등) 생산을 확대한 결과로 보인다.

제품별로는 경유, 납사, LPG, 항공유 등 경질 석유제품의 생산량 확대가 전체 생산량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납사는 석유화학산업 수요 증가, LPG는 수출 확대로 인해 생산량이 대폭 증가했다.

석유제품 수입은 납사 수입이 증가한 반면 LPG, 벙커C유 등의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1% 감소한 8,120만 배럴을 기록했다. 

LPG 수입은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고 석유화학산업의 원료로서 LPG의 대체제인 납사 수입이 급증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납사 대비 LPG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돼 납사를 LPG로 대체할 유인이 부족함에 따라 납사의 수입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벙커C유 수입은 발전단가 상승으로 국내 발전소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2.8% 감소했다.

석유제품 소비는 수송용 연료와 납사, 아스팔트 등의 수요 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1.4% 증가한 2억3,390만 배럴을 기록했다.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와 경유 소비는 저유가 지속, 차량대수 증가, 5월 황금연휴에 따른 교통량 증가 등으로 각각 3.6%, 3.8% 증가해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납사 소비는 석유화학산업의 호황에 따른 원료 수요 증가로 4.5% 증가했다.

반면 벙커C유 소비는 전력 발전단가 상승으로 31.8% 감소했다. LPG 소비도 LPG 차량 대수 감소로 0.9% 감소했다.

▲ 주요 석유제품별 수출량(백만B, %).
석유제품 수출량은 1억1,920만 배럴로 4.2% 감소했지만 수출액은 수출단가 상승(10$/B, 19.7%)으로 14.6% 증가한 71억9,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제품별로 수출 비중(총 수출량 59%)이 높은 경유·휘발유·납사의 수출 감소로 총 수출량이 감소했다.

경유 수출량 감소는 네덜란드로의 수출 급감(△100%)과 인도네시아의 라마단 기간(5.27~6.25) 진입에 따른 소비 감소가 원인으로 보인다.

휘발유는 인도네시아의 자급율 상승, 싱가포르로의 수출 감소(△49.4%) 등 對아시아 수출이 부진(△24.9%)함에 따라 5.5% 감소했다.

납사 수출은 수출의 과반을 차지하는 중국이 자급율 확대를 위해 자국기업의 수출쿼터를 축소함에 따라 감소했다.

▲ 주요 석유제품 지역별 수출량(백만B, %).
지역별로는 수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아시아와 미주로의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수출량이 4.2%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네시아, 중국 등의 자급율 확대로 對아시아 수출이 감소했다. 미국으로 수출하던 항공유를 호주, 일본 등 아시아로 수출함에 따라 對미주 수출도 감소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