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러시아 PNG(Pipeline Natural Gas, 러시아~북한~한국 가스관 연결)사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 2004년 9월 러시아 방문 시 천연가스 협력에 합의한 이후 2006년 10월 정부 간 가스협력협정을 체결하는 등 PNG 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노무현 정부의 바통을 이어받은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008년 9월 모스크바에서 드미트리 아나톨리예비치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PNG 도입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가즈프롬은 2015년 이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부터 연간 10BCM(약 750만톤)의 천연가스를 30년에 걸쳐 도입하기로 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까지 체결했지만 이 사업은 북한의 3차 핵실험(2013년 2월) 이후 중단됐다.

러시아가 블라디보스토크를 ‘에너지허브’로 구축해 극동지역을 개발하는 ‘신동방정책’을, 문재인 정부도 러시아와의 새로운 협력을 통한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PNG 사업이 다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PNG 사업이 한국과 러시아의 의지만으로 실현될 수 있을까. 최대 관건은 북한이다. 최근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문제로 남북관계가 경색돼 있고 국제사회와 미국의 북한 제재가 진행 중이다.

‘한국-러시아 천연가스협력 정책토론회’가 개최된 지난달 30일 새벽 북한이 미사일을 또 쏘아 올렸다. 북한 경유보다는 중국을 경유하는 PNG 도입을 추진하자는 의견이 있지만 사드 문제로 중국과도 불편한 관계에 있다. 셰일가스를 생산, 수출하는 미국도 한국의 러시아 PNG 도입을 가만히 바라보고만 있을까.

이처럼 동북아 정세가 불안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은 오는 6~7일 취임 후 러시아를 처음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 이번 정상회담에선 극동개발을 포함해 양국의 실질협력 증진방안과 북핵 문제 해결 및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협력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극동개발의 일환으로 PNG 사업이 의제로 등장할 지는 지켜볼 일이다.

“한국이 러시아를 활용해 북한 문제를 풀려고 한다는 인상을 주기보다는 한국과 러시아 양자관계의 틀 속에서 양국이 실질협력분야를 선정해 구체적으로 협력을 진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신범식 서울대학교 교수가 토론회에서 한 말이다. 기자도 신 교수의 말에 동감한다. 문 대통령이 재임 기간 동안 PNG사업을 무조건 성사시킨다는 조급증에 빠지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