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OPEC총회 결과 석유감산(減産)정책을 내년 3월까지 지속 추진키로 합의함에 따라 국제 유가가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OPEC의 이같은 결정은 우리나라 경제에도 곧바로 그 영향이 파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질 수 밖에 없다.

경제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는 국제 원유가격이 상승하면 원유도입액 부담 증가에 따른 국제수지 악화를 비롯해 물가상승, 산업 연료비 부담 가중 등 일파만파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가 오를 때 우리나라의 국제수지는 연간 8억7천만달러(99년도 원유도입량 추정치: 약 8억7천만배럴)가 악화되고 국내물가도 도매물가 기준 0.11포인트 인상요인으로 작용하며 산업 연료비 부담 증가액도 연간 약 4천3백24억원에 달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한 국제 유가 1달러가 오르게 되면 국내 휘발유 및 난방유의 가격이 리터당 11원씩 인상된다고 한다.

이처럼 국제유가의 등락은 우리경제 거의 전분야에 걸쳐 복합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국제유가 등락에 대처하는 종합 프로그램이 아직까지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

우리 정부나 석유관련 업계에서는 국제유가의 등락에 대비해 갖고 있는 대처방안은 에너지 절약이라는 구태의연한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것이 없는 실정이다.

우리와는 그 규모나 영향력 면에서 상당부문 다르지만 미국의 경우 금번 OPEC의 감산 지속 결정 이틀뒤인 9월24일 전략석유비축(SPR:Strategic Petroleum Reserve)양을 방출 하겠다고 밝혀 급상승하던 국제 유가를 주춤하게 만드는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고작 국내 에너지 소비를 줄이자는 소극적인 대처와 아울러 에너지 가격 인상이라는 하책(下策) 밖에는 내놓고 있지 못한 것은 지적받아 마땅하다.

우리는 지난 3월 본란을 통해 OPEC의 감산 결정과 이에따른 국제유가 인상에 대비해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에 우리가 지적했던 내용들을 반복하자면 첫째 국제유가 변동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 개발도입량의 증대, 둘째 국내 원유 비축량의 확대, 셋째 원유도입선의 다변화, 넷째 대체에너지 개발 강화 다섯째 에너지효율 증대, 여섯째 고효율기자재 보급 촉진 등이다.

국제유가 등락에 따라 일희일비하는 우순 꼴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위에서 지적한 여섯가지 사항을 착실히 준비해 앞으로는 국제유가 인상에 따라 국내 경제가 좌충우돌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이를 통해 국민경제가 안정된 기반위에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위해 정부당국과 관련업계는 좀더 책임감을 갖고 국제유가의 변동 정보를 수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