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재강 기자

[투데이에너지] LNG벙커링산업의 불시가 다시금 타오르고 있는 것일까.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LNG 추진선박 연관 산업 활성화 방안’을 밝힘에 따라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더욱 놀라운 점은 관련 육성정책이 불과 몇년사이에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LNG 추진선 보급 활성화를 위해 관공선 중심의 건조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또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자체 육성안을 발표하고 시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경남도는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 기반구축사업’을 통해 국내 LNG벙커링산업의 중심지를 꿈꾸고 있다.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육성방안이 이처럼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것은 국제 흐름과 관계가 있다.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부터 황산화물(SOx) 규제 강화(3.5%→0.5%)를 결정함에 따라 시행 시기가 2년도 채 남지 않았다.

규제 대상에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포함된다. 선사와 제조회사의 경우 이를 대체할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 같은 규격을 맞출 수 있는 선박연료로 LNG 추진선이 거의 유일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조선산업의 강국이지만 수년간 내리막길을 걸어오고 있어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결국 LNG 추진선시장에 진출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문제는 경쟁국들의 발 빠른 움직임이다. 일찌감치 건조·운영을 시작한 노르웨이 등 북유럽국가 외에 중국의 성장세가 무섭다. 거대한 내수시장을 무기로 정부 지원 아래 LNG 추진선 개발,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내외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조업의 중추인 조선과 관련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LNG 추진선을 위시한 LNG벙커링 산업에 대한 투자는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숙명이다.

앞으로가 중요하다. 풍성한 곡식을 수확하기 위해서 씨앗을 뿌리고 물을 주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듯 정부를 비롯해 지자체, 업계가 합심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의지를 갖고 추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