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앞으로 5년 이내에 LPG소비자가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될 것이라는 우려다.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 대한 보급 확대 정책 방향에 대한 공청회를 무산시키면서까지 반대입장을 표명한 LPG판매사업자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기 때문에 재해 등에 발빠르게 대응 가능한 LPG도 균형 발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LPG산업도 지켜야 한다는 의견은 존중받지 못했다.

1987년 도시가스가 보급될 당시만 하더라도 LPG사용자가 부담한 kg당 4.5원의 안전관리기금을 재원으로 도시가스 배관망에 대한 지원 또는 낮은 이율의 융자가 이뤄졌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당시만 하더라도 등유와 LPG시장이었던 것이 이젠 전국적으로 1,775만가구, 82%에 달하는 도시가스 보급률을 자랑하고 있는 환경이 된 셈이다.

10%를 약간 웃도는 일부 LPG시장도 도시가스로 전환하면 LPG산업에 종사하는 임직원과 사업자는 또 어떻게 살아가야 될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민간 LPG사업자가 이같은 환경을 자초한 측면도 없지 않다. LPG판매로 많은 이익을 누렸음에도 이를 재투자해 안전한 시설환경을 갖추도록 노력하지 않고 부만 축적 했다는 비난을 받을 여지가 있다.

충전, 판매 등에 LPG를 공급하는 수입 및 정유사도 LPG산업의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이나 투자에 소홀히 해 온 점도 없지 않다.

정부 정책 변화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LPG산업의 체질을 바꾸고 유통구조도 개선시켜 나갔어야 마땅했다.

물론 정부도 경제성과 주민 민원을 고려해 도시가스 보급에 나서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십분 이해하고도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적 측면에서 다른 곳에 비해 LPG업계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기와 석유, LPG 및 도시가스 등 어느 에너지원에 편중되지 않고 믹스가 될 때 균형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는 고려와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균형잡힌 정책과 산업의 발전이 조화롭게 이뤄지기 위해서는 정부는 물론 관련 업계, 소비자의 호응이 3박자로 조화가 이뤄지는 것이 최상이다.

도시가스 전환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하며 국내 에너지원에서 비교적 작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LPG산업도 국내 에너지원에서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지원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