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강릉의 한 펜션에서 발생한 CO중독사고는 한마디로 총체적 부실이 빚어낸 인재였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시공능력과 자격을 갖췄는지에 대한 점검 없이 값싼 보일러를 구매해 시공비용이 낮은 곳을 선택한 소비자도 문제였고 연 1회 점검을 해야 했지만 이를 제대로 하지 않은 가스공급자의 책임도 없지 않아 보인다.

행정기관인 지자체는 물론 전문검사기관인 가스안전공사가 수시 및 특별점검을 했는지, 공급자가 의무적으로 해야 될 안전점검과 기록된 서류 확인을 통해 전수 확인은 아니더라도 샘플링 조사를 하고 문제 개연성이 높은 취약시설에 대한 보완 조치를 했는지 여부도 의문이다.

정부와 지자체, 가스안전공사에서는 가스사용시설에 대한 전수검사를 1월 말까지 할 것을 34개 도시가스와 LPG, 집단공급사업자에게 요청했지만 제대로 검사가 진행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가스사용이 많은 겨울철인데 특별점검 업무까지 수행하기에는 관련업계의 인력 여건 등을 고려할 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책임을 벗어나기 위한 형식적으로 점검을 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단계적이고 심도깊은 준비와 점검이 이뤄지도록 해 유사사고의 재발을 방지하는 것에 역점을 둬야 한다.

취약 또는 위험시설 등과 같이 시급성이 요구되는 곳부터 먼저 검사를 하도록 하고 나머지 시설은 단계적으로 검사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관련 법률에서 요구하고 있는 자격증 대여 또는 보유 현황에 대한 면밀한 확인 조치를 통해 부실시공이 이뤄질 수 없도록 제도 보완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사고는 순간 순간 발생하지만 후회와 아쉬움은 평생동안 지속될 수 밖에 없다. 재발 방지를 위해 세운 대책들이 무용지물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심도깊고 면밀한 고민을 통해 대책이 마련되고 철저한 확인과 이행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가스안전이 담보될 수 없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