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최근 에너지분야 관련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에 대한 문제의식도 고취되고 있다. 에너지분야 사고가 예방은 안되는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볼 필요성이 있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로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 또한 푸르러야 하는 봄하늘 가득히 메운 노란색 미세먼지들에 국민건강에 대한 불안감이 커짐에 따라 석탄에 대한 거부 움직임이 시작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태양광, 풍력, 수소, 심부지열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에 주목했지만 이 역시 사고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ESS설비에 화재가 발생하고 수소설비가 폭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조차 안전하지 않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봐야하는 시점이다.

그러나 이를 다른 시각으로도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사고를 과연 예상하지 못했을까 하는 부분이다. 배터리를 한데 묶어두면 터질 수 있고 수소가 폭발할 경우 큰 피해를 입힌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던 사실이다.

관계 전문가들 역시 이에 대해 끊임없이 사고예방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해온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터지고 나서야 대책을 발표하는 등의 정부의 행태는 과연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안전사고는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것과도 같다. 물론 다음을 위해서 안 고치는 것보다는 낫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잃지 않아도 되는 소를 잃었다고 한다면 말은 달라진다.

분명한 것은 에너지는 지속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뒤늦게 꾸려진 ESS사고대책, 수소안전관리전담기관 설치 등이 이뤄지고 있지만 이들이 제기능을 하기 위해선 성과위주의 정책보다는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갈만큼 안전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정부는 수소안전관리를 위한 전담기관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 여러 연구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표방하는 것처럼 안전한 에너지공급체계를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되돌아보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