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나영 기자

[투데이에너지]8월1일자로 열요금이 인상됐다. 인상요인에도 불구하고 요금을 올리지 못하게 될까봐 집단에너지업계는 노심초사 해왔다. 이로 인해 급한불은 껐을지 몰라도 문제는 고질적인 경영난이다. 각 사별 원가가 제각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기준사업자 요금을 따르게 돼 있는 구조에서 사업자들이 적자경영을 탈피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있어보이지 않는다.

정부는 미세먼지 대책을 세우고 국가과제로 에너지전환을 천명하면서 LNG가 신재생에너지로 가는 길에서 가교역할이 될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그러나 정작 LNG를 사용하고 있고 분산형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은 잇따라 디폴트를 선언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구축된 도시가스와 전력인프라로 집단에너지의 친환경성과 효율성은 가격경쟁력이 낮은 관계로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한때 전력예비율히 급격히 떨어져 국가에너지안보에 적신호가 켜졌을 지난 2011년 즈음에는 집단에너지사업이 호기에 들어섰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것도 잠시뿐. 경제발전을 기본으로 하는 원전과 석탄화력발전 건설이 급물살을 타면서 집단에너지의 편익은 또다시 안개 속에 가려진 것이다.

신기후체제에 우리나라가 당사국으로 등록하고 전세계적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의 공포에 휩싸이면서 중국발인지, 국내발생분인지에 대한 논란이 뜨거워졌다.

환경발전의 당위성이 부각되면서 집단에너지는 최적의 환경발전설비로서 그 위상을 떨칠수 있는 기회가 온 것이라는 평가도 있었다. 다만 지금까지 누적돼온 경영난을 해결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적자경영이라는 굴레를 벗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많은 제도적 허점이 존재하지만 정부가 에너지전환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있다면 최소한 연료비연동만이라도 외부영향을 받지 않고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