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출이 우려되는 가운데 정기운항 국내·외 선박을 활용해 방사능 감시체계를 구축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박완주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해양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해양방사성 물질 조사체계 구축 운영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전국 32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6가지 핵종에 대한 정밀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인근 지하수가 원자로건물 틈으로 유입되면서 오염수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일본은 현재 오염수 약 116만톤을 저장탱크에 저장해 보관하고 있으나 탱크 용량을 증설해도 오는 2022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일본정부가 해양방출, 대기증발, 수소방출, 지층매립, 저장탱크 증설 등 오염수 처분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일부 전문가는 일본이 비용 등을 문제로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박 의원은 4일 열린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혹시 모를 일본의 방류를 감시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국내외 선박 등을 활용해 방사능 감시체계를 확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의원은 “현재 해수부와 해양환경공단이 3척의 국내·외 정기운항선박에 ‘수질’을 검사하는 장치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조사하고 있다”라며 “방사능 오염수는 매우 중차대한 문제인 만큼 해수부가 방사능에 대한 조사를 다각도로 확대해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도 해양 방사능 감시체계를 구축해 운영 중이며 부이 3개소, 선박 1개소, 해양관측시설 14개소로 총 18개소를 운영해 방사능을 감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