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오는 2030년까지 운영기간이 만료되는 원전 11기 가운데 운영기간 만료 이전에 ‘사용 후 핵연료’ 저장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 8기에 달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이개호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원전 사용 후 핵연료 저장현황’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47만6,729다발을 저장, 저장용량 52만8,716다발의 90.2%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수로는 저장량이 1만8,789다발로 저장용량 2만6,804다발 대비 70.1%이지만 중수로는 45만7,940다발로 저장용량 50만1,912다발의 91.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는 2025년 운전기간이 만료되는 고리4호기는 저장률이 94.9%, 2024년 만료되는 고리3호기는 94.2%에 이르러 사실상 포화상태다.

이개호 의원이 지난 5년 동안 발생된 ‘사용 후 핵연료’ 평균 발생량을 감안해 저장용량 초과현황을 자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운영기간이 만료되는 11기 원전 중 운영기간 만료 이전에 저장용량을 초과하는 발전소가 8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기간 종료까지 저장용량이 수용 가능한 원전은 고리2호기, 한빛1, 2호기 등 3곳에 불과했다.

이개호 의원은 “사용 후 핵연료 문제는 국민의 건강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환경과 미래세대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 국민이 수용 가능한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처리돼야 한다”라며 “운영기간은 남아 있는데 사용 후 핵연료 발생이 저장용량을 초과 할 경우 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지 원안위의 분명한 입장과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