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에너지저장장치인 ESS에서 화재가 끊이지 않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정부가 민관합동 사고조사위원회를 꾸려 진상조사를 마친 후 ESS 안전강화 대책을 지난 6월 내놓은 이후 벌써 3번째의 추가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민관합동 사고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과 대책이 제시됐지만 정확한 원인규명이 아니었다는 의문을 대두시키기에 충분할 뿐 아니라 제대로 된 처방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관련 산업의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는 듯한 분위기다.

지난 2017년부터 총 26건에 이르는 ESS화재는 사실상 ESS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을 다시 증폭시키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지난 6월 산업부는 민관합동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ESS 화재에 대해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 체계 미흡 등 총 4가지를 원인으로 제시한 바 있다.

화재원인을 바탕으로 ESS 제조·설치·운영 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소방기준 신설을 통해 화재대응 능력을 제고하는 안전강화대책을 시행하겠다고 한 것이 효용가치를 추락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과연 ESS 화재에 대한 원인 파악이 제대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마련됐던 종합안전관리 대책이 옳지 않을 수도 있다는 반문마저 제기되고 있다.

사고원인과 대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한 결과인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신재생에너지업계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ESS와 연계할 때 경제성이 높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사업 확대에도 부정적 영향이 미치게 될 가능성 차단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전국적으로 1,500여개에 달하는 ESS사업장이 언제, 또 어디서 어떻게 불이나게 될지에 대한 두려움도 커질 수밖에 없은 것은 물론 투자 유치도 어려워지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간헐성의 문제를 ESS 설치로 해결하고 전력망의 신뢰도까지 높여주는 효과를 ESS 화재사고가 신재생에너지의 성장과 발전에 발목을 잡은 격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인허가 절차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지역주민의 만원에 대한 부담도 덜어 주면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을 20%까지 높이겠다는 정부의 정책 추진에 대한 불신으로 번지지 않도록 제대로 된 원인 파악과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