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로 기후변화 위기가 오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 인천 송동에서 열린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를 채택했다. 지금부터 각 나라가 오는 2030년까지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5%를 감축해야 하는 것이 목표다.

과학자들은 오는 2028~2030년 안에 지구 온도가 1.5도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지구 온도가 1.5도 이상 상승하면 지구의 위험은 커질 것이다.

최근 전세계 트렌드인 재생에너지 중심인 에너지전환의 중요성 및 우리나라가 진행 중인 에너지전환 정책을 전세계가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N21(신재생에너지정책국제단체), 서울시와 공동으로 재생에너지분야 국제 컨퍼런스인 ‘제8회 세계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를 개최, 세계 기후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특히 이날 라나 아디브 REN21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향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술혁신과 비용절감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라며 “정부 차원에서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라나 아디브 의장은 “글로벌 전력발전기준으로 보면 해외 대부분의 국가는 평균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6%까지 목표로 잡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국 정부가 목표로 하는 2030년 20%는 높은 것이 아니다”라며 “재생에너지 확산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좀더 한국 정부가 높은 목표를 설정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결국 기술 혁신을 통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트렌드에 적응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을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어 재생에너지 도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충분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탈원전·탈석탄 정책으로 인해 상호 이해관계자들의 반발들이 심한 상황이다.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도출하는 것은 한쪽 방향으로만 흘러가면 그에 따른 위험성도 있다.

어떠한 정책도 모두의 찬성으로 이뤄지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서로가 이해할 수 있는 선에서 조율을 통한 에너지정책이 진행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